환문총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하양어두(下羊魚頭) 뒷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둥근무늬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하양어두(下羊魚頭) 뒷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둥근무늬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내용

고분의 봉토는 방대형이고 네 귀는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다. 무덤은 서남향으로 앞벽 중앙의 가느다란 연도와 방형의 현실로 된 단실분(單室墳)이다. 현실의 천장가구는 위로 올라가면서 좁아지다가 1장의 덮개돌을 덮은 꺾음천장이다. 현실 중앙에는 방형의 관대시설이 있다.

벽화의 내용은 장식무늬와 사신도이며 두껍게 회칠한 연도와 현실의 벽면에 그려졌다. 연도 후반부의 동·서벽에는 벽사(辟邪)를 상징하는 한 쌍의 괴수(怪獸)를 그려놓았다. 그러나 벽면의 박락으로 인해 명확히 알아볼 수는 없다.

현실의 벽화는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지상의 목조건물(木造建物)로 보이게 하기 위해 네 벽과 천장 사이에 창방을 그리고, 네 벽 모서리에는 창방을 지탱하는 기둥을 그려놓았다. 그리고 갈색 바탕의 기둥·창방에는 윤곽을 먹선으로 잡은 거의 초롱무늬로 변화된 괴운무늬[怪雲文]가 돋쳐 있었다.

네 벽에는 20여 개 이상의 둥근 무늬[環文]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그려져 있다. 둥근 무늬는 같은 모양에 같은 크기의 동심원 무늬로서 밖에서부터 안쪽으로 흑색·홍갈색·연남색·황색·남색·자갈색으로 칠하였다. 이 벽화고분을 환문총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 무늬 때문이다.

의의와 평가

또한 벽면의 둥근 무늬 사이에는 인물상의 밑그림이 희미하게 보인다. 처음에는 인물도를 그리려다가 도중에 둥근 무늬로 바꾸어 그린 것같이 생각된다. 이 둥근 무늬는 무늬로서는 단순하지만 색채가 아름답다. 천장에는 사신도를 그렸다. 그러나 발견할 당시에는 거의 박락되어 동벽 천장에서 청룡을, 서벽 천장에서 백호를 찾아볼 수 있을 정도였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벽화고분(壁畵古墳)』(김기웅, 동화출판공사, 1982)
『通溝』下(池內宏·梅原末治, 日滿文化協會, 194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기웅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