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계지탕 ()

목차
의약학
개념
망양병의 초기 증세를 치료하기 위하여 소음인에게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망양병의 초기 증세를 치료하기 위하여 소음인에게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이 처방에 관한 내용이 있다. 처방의 구성은 계지 11.25g, 백작약·황기 각 7.5g, 백하수오(白何首烏)·당귀(當歸)·감초 각 3.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은 계지탕의 변방(邊方: 부수되는 처방)으로 계지탕에 황기·백하수오·당귀를 가한 처방이며, 또한 승양익기탕(升陽益氣湯)에서 인삼·관계(官桂)를 빼고 계지를 군약(君藥)으로 삼은 처방이기도 하다.

이 처방은 풍한사(風寒邪)를 발산시키는 계지가 군약이 되고, 표부(表部)를 튼튼하게 하는 황기·영기(營氣)를 조화시키고 수렴작용이 있는 백작약이 신약(臣藥)이 되며, 보기축랭(補氣逐冷)하는 하수오, 화혈활혈(和血活血)하는 당귀, 화중(和中)하는 감초, 한기(寒氣)를 발산시키는 생강, 자양화영(滋養和營)하는 대추가 좌사약(佐使藥)이 된 것으로 계지탕보다 강한 지한력(止汗力)을 가진 처방이다.

소음인은 신대비소(腎大脾小)한 체질적 특징으로 신음(腎陰)이 왕성해지기 쉬우므로 그 부(腑)에 해당하는 대장(大腸)의 승양작용(升陽作用)이 약화되기 쉽다. 이때 밖에서 풍한사가 침범하게 되면 이양(裡陽)이 상승하지 못하고 표음(表陰)이 울체(鬱滯)되어 영위(營衛)의 작용이 약화되어 망양이 되게 되는 것이다.

소음인은 이와 같이 망양이 되기 쉬운 소인이 있으므로 감기 등의 증세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도 발한(發汗)시키는 데 상당한 주의를 요하며 망양증이 발생할 조짐이 있을 때는 황기계지탕·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승양익기탕 등의 처방을 응용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망양초증(亡陽初症)의 치료방향은 고표지한(固表止汗)하거나 승양익기시키는 것인데, 이 처방은 고표지한하는 치료에 중점을 둔 처방이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상체질의학론(四象體質醫學論)』(윤길영, 숭일문화사, 1980)
『사상원론(四象原論)』(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7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