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안지악 ()

목차
국악
작품
종묘제례의 송신(送神)에 사용되는 진찬곡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종묘제례의 송신(送神)에 사용되는 진찬곡명.
내용

헌가(軒架)에서 연주된다. 이 진찬곡은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되었던 보태평·정대업이 1463년(세조 9)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됨에 따라 영신·전폐·진찬·철변두·송신 등 제례절차에 필요한 악곡과 가사를 새로 지을 때 지어졌다.

즉, 현행 보태평 11곡과 정대업 11곡에 포함되지 않는 진찬곡을 새로 지어 진찬례에는 풍안지악(豊安之樂), 철변두례에는 옹안지악(雍安之樂), 송신례에는 흥안지악이란 이름을 붙여 사용하였다.

음계는 황(黃)·태(太)·고(姑)·중(仲)·임(林)·남(南)·응(應)의 7음으로 되어 있고, 주음인 황종으로 시작하여 황종으로 끝난다. 악장은 4자가 1구를 이루어 중국식 아악과 같으나 4자씩 8구가 아닌 6구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문헌

『대악후보(大樂後譜)』
『세종실록(世宗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조선음악소고』(함화진, 일본ビクタ축음기주식회사, 194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