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가사란 박해 시기에 한국 천주교회의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유랑 생활을 하면서 주요한 교리 내용과 수덕 생활(修德生活)의 계명(誡命)을 암송하기 쉬운 4·4조의 가사체로 만들어 부르기 시작한 일종의 ‘종교가사(宗敎歌詞)’이다. 『사주구령가(事主救靈歌)』는 여러 천주가사를 모아 놓은 가첩 중 하나로, 천주를 섬기고 영혼을 구령하는 데 필요한 신앙의 내용이 천주가사의 골론(骨論)을 이루고 있어서 그렇게 불렀다. 일명 『김지완본(金址完本) 천주 가사집』이라고도 한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서울에서 순교한 이 암브로시오가 수집해 놓은 가사들을 손녀사위인 김지완이 1917년 전사(轉寫)하여 한데 묶었으며, 이 가사집의 이름을 『사주구령가』라고 붙였다.
전사본의 분량은 1면당 16행이고, 모두 202면이며, 크기는 21×16cm이다. 원본은 호남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이 가첩에는 총 21편의 천주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선종가(善終歌)』, 『사심판가(私審判歌)』, 『공심판가(公審判歌)』, 『사향가(思鄕歌)』는 최양업(崔良業, 토마스, 1821∼1861) 신부가 지은 것으로 보이며, 『삼세대의(三世大義)』, 『천당가(天堂歌)』, 『지옥가(地獄歌)』, 『천주십계(天主十誡)』는 민극가(閔克可, 스테파노, 1787∼1840) 성인의 작품이다. 『피악수선가』는 기해박해 때 순교한 이문우(李文祐, 요한, 1810~1840)의 『옥중제성(獄中提醒)』의 이름을 잘 몰라 ‘피악수선가’라고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강 신부 노래』는 1861년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하다가 1866년 중국으로 피신한 칼래(Calais, 姜) 신부가 신자들의 교리 교육을 위해 지은 것이다.
그 외에도 『성세(聖洗)』, 『견진(堅振)』, 『고해(告解)』, 『성체(聖體)』, 『종부(終付)』, 『신품(神品)』, 『혼배(婚配)』 등 주1와 관련된 노래와 『칠극(七克)』, 『 제성』, 『행선』, 『애덕』 등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