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배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인물
1947년에서 1960년까지, 제3대 전주교구장으로 사목한 천주교 사제.
이칭
세례명
바르톨로메오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5년 7월 15일
사망 연도
1960년 4월 30일
본관
김해(金海)
출생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 성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현배(金賢培)는 1947년에서 1960년까지 제3대 전주교구장으로 사목한 천주교 사제이다. 1905년에 출생하여 1920년에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하였고, 1932년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대구에서 사목 활동을 하다 1943년 전주지목구 나바위 본당 주임 신부, 1944년 12월 전주지목구 경리부장, 1946년 지목구장 서리로 사목을 하였다. 그리고 1947년에 제3대 전주지목구장에 임명되었다. 1957년 전주지목구가 대목구로 승격됨에 따라 주교에 임명되었다. 1960년 사망하였다.

목차
정의
1947년에서 1960년까지, 제3대 전주교구장으로 사목한 천주교 사제.
인적사항

김현배(金賢培)의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1905년 7월 15일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대성리 성치(城峙)에서 김현숙과 김 마르가리타의 아들로 태어났다. 가톨릭 세례명은 바르톨로메오이다. 부모가 익산 안대동(安大洞)으로 이사하여 10여 세까지 그곳에서 지내다가 익산 나바위로 이주하였다. 1920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에 입학하여 철학과와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32년 5월 21일 주1주2.

주요 활동

대구대목구의 주3 본당인 계산동(桂山洞) 본당 보좌 주4로 발령받아 신암 · 화원 주5를 담당하여 사목 활동을 하였다. 이후 1940년 7월 20일 계산동 본당 주임 주6가 되었다. 1942년 1월부터 5월까지 성 유스티노 신학교에서 잠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43년 5월 20일 전주지목구 나바위 본당 주임 신부로 발령을 받아 7월에 부임하였다.

1944년 12월에 전주지목구 경리 부장, 1945년 2월 14일에 경리 부장 겸 재단 이사로 임명되었다. 당시 재정적 어려움으로 신학생 양성이 7년 동안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김현배 신부는 당시 3명의 신학생을 배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1946년 1월 22일 지목구장 서리로 선임되었다가 1947년 7월 7일 교황청으로부터 제3대 지목구장 임명을 받고, 그해 8월 24일에 지목구장 주7을 가졌다. 1948년 전동성당 내에 무료 진료소를 설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해 성모병원을 개원하였다. 1949년 성심여자중학교, 1952년 성심여자고등학교, 1960년에는 해성중학교를 설립하였다.

1949년 18개 본당에서 가톨릭 연맹을 조직하여 신자 배가 운동을 벌였다. 6·25전쟁 중 과로로 수류 본당에서 요양하다가 1950년 8월 2일 북한군에 체포되어 신부 4명, 주8 1명과 함께 전주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그해 9월 27일 주9이 후퇴하면서 수감자들을 모두 총살하려고 할 때 김현배 주교와 동료들은 누군가의 도움으로 교도소를 탈출할 수 있었는데, 당시 300여 명이 교도소를 빠져나올 수 있었고, 1000여 명은 총살당하였다.

전쟁 후 파괴된 성당을 복구하는 것과 협소한 성당 건물을 현대식으로 신축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1군(郡) 1본당을 목표로 본당 신설에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1955년 장계본당이 새로 설립되었고, 정읍본당이 복원되었다. 1956년 임실본당과 대야본당 신설, 1957년 무주본당 신설, 1958년 고산본당 복원, 1959년 여산본당 신설 등으로 그 결과가 나타났다. 1960년 3월 황등, 순창, 고창에도 본당을 신설하여 당시 전주교구에는 총 24개의 본당이 있었다.

1957년 3월 7일 전주지목구가 대목구로 승격됨에 따라 북아프리카의 ‘아그비아(d'Agbia)’ 명의 주교에 임명되어 사제 서품 25주년이 되는 그해 5월 21일에 주교 주10과 은경축을 가졌다. 그리고 6월 28일에는 주교좌를 전동본당에서 중앙본당으로 이전하고 축성식을 가졌다. 1959년 4월 23일 사제회의를 통해 주11을 신축하기로 결정하고 전주시 중노송동 2가 361번지에 17,000평의 부지를 마련하여 9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병인 고혈압으로 투병하다가 1960년 4월 30일에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진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1 (빅벨, 1998)
김진소, 『한국가톨릭대사전』 2 (한국교회사연구소, 1999)
조한건 외, 『교우촌의 믿음살이와 그 지도자들』 (형제애, 2018)
주석
주1

주교와 신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주교의 안수에 의하여 사제ㆍ부제가 임명되다. 우리말샘

주3

가톨릭 성당에서 주교가 예식 때 앉는 의자. 경우에 따라 주교의 권위 또는 권위 있는 가르침을 뜻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4

본당에 딸리어 주임 신부를 도와주는 신부. 우리말샘

주5

본당보다 작은 교회 단위. 본당 사목구에 속하여 있는,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예배소나 그 구역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6

본당 사목을 주장하여 맡아보는 사제. 우리말샘

주7

성직자가 정식으로 직무에 취임하는 의식. 우리말샘

주8

부제품을 받은 성직자. 사제를 도와 강론, 성체 분배 따위의 집행을 하게 된다. 우리말샘

주9

북한의 군대. 우리말샘

주10

세 명의 주교가 새 주교의 머리 위에 안수하고 성령이 내리기를 기도하는 예식. 우리말샘

주11

주교가 의식 때에 쓰는 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