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림 ()

현대문학
문헌
1936년에, 홍순열이 순수 문예를 지향하여 창간한 잡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36년에, 홍순열이 순수 문예를 지향하여 창간한 잡지.
개설

1936년 12월 창간되었다. 이주홍(李周洪)과 홍구(洪九)가 편집을 맡았고, 편집인 겸 발행인은 홍순열(洪淳烈)이었다. 풍림사(風林社)에서 발행하였고, 컷·장정·표지는 이주홍이 맡았다. ‘순문예 중심으로써 깨끗한 정기물(定期物) 한 개를 갖고 싶다’며 의욕적으로 출발했으나 1937년 5월 6호를 끝으로 종간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한국문학사에서 1936년은 계급문학과 모더니즘이라는 중심이 흐릿해지고 또한 소위 1930년대 후반기의 신세대 작가군이 대거 등장하던, 그야말로 다양하고도 이질적인 문학적 성향들이 공존하던 시대였다.『풍림』은, “이것은 동인지도 아니요, 어떤 종파적 집필을 특생으로 하는 것도 아니요, 누구나 문학이면 다 쓸 수 있는 여러분의 것이다”라는 창간의 말에서 볼 수 있듯, 1936년 당시의 모든 문학적 경향이나 이념, 그리고 세대를 망라하여 한국문학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창간된 잡지였다.

서지적 사항

1936년 12월 1일 풍림사에서 창간호가 발행되었고 1937년 5월 1일 6호까지 같은 곳에서 간행되었다. 1937년 5월에 수록된 정청산(鄭靑山)의 「의원(醫員)」끝부분에 ‘전편(前篇) 종(終)’이라는 표현이 부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계속 발간할 예정이었으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종간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

『풍림』은 비록 100면 내외의 두껍지 않은 문학월간지였으나 매호 문제적인 기획으로 전형기적 상황 때문에 혼란에 빠져 있던 한국문학의 새로운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예컨대 안회남, 최인준, 김유정, 강노향, 박영준이 필진으로 참여한 ‘새로운 문학은 무엇을 목표로 할까?’와 유진오·이기영·채만식으로 채워진 ‘문학청년에게 주는 글’이라는 창간호의 기획, 김유정·김동리·박향민·방인희·안회남·박영준·김소엽·현경준이 참여한 3호의 ‘신인들의 직언’ 특집, 그리고 이동규·정비석·김동리·홍구·박영준 등의 신진작가들이 이광수·한설야·유진오·이효석·이태준 등 앞선 세대의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4호의 ‘작가론특집’, 그리고 박아지·신석정·오장환·김광균·윤곤강 등의 신진 시인들이 박세영·정지용·이은상·백석·김기림·임화 등의 시세계를 논한 5호의 ‘시인론특집’, 마지막으로 이동규·김우철·계용묵·정비석 등의 신인작가들이 임화·최재서·이원조·백철 등의 비평세계를 조명한 6호의 ‘평론가특집’ 등이 각기 기획되었는데, 이 기획들은 1930년대 중·후반의 한국문학의 현재를 조망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하였다. 이외에도 2호에 실린 임화의 「진보적 시가의 작금(昨今)」, 이기영의 「『고향』 세평(世評)에 대하여」, 3호에 실린 한설야의 「문단주류론」, 5호에 실린 임화의 「문학이론으로서의 신휴머니즘에 대하여」, 6호에 실린 김남천과 박승극의「이기영 검토」 등의 글 역시『풍림』이 한국문학사에 남긴 기억할 만한 기여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풍림』이 한국문학에 남긴 가장 큰 흔적은 무엇보다 1930년 중후반의 한국문학의 ‘작금(昨今)’을 수시로 비교, 분석하고 맥락화함으로써 혼란기에 처한 한국문단 전반에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1936년과 1937년 당시만 해도 문학적 역량이나 가치가 충분히 증명되지 않은 소위 신세대 작가들의 목소리를 어느 매체보다도 앞서서 수용하는 적극성을 보여 이후 김동리·정비석·오장환·이육사 등 1930년대 후반기를 풍요롭게 한 신세대 작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도『풍림』의 중요한 의의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목차집』(한국학연구소, 1973)
집필자
류보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