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삼장보살탱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삼장보살탱
하동 쌍계사 삼장보살탱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개설

이 불화는 천장보살(天藏菩薩)과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 등 세 보살의 회상(會上)을 묘사한 삼장보살탱으로, 본래 쌍계사 대웅전의 신중탱으로 봉안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781년(영조 5) 금어 승윤(勝允)을 비롯하여 만휘(萬輝) · 홍원(泓源) · 지순(智淳) 등 16인의 화승이 제작하였다. 2003년 4월 1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비단에 채색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244㎝, 가로 388㎝이다. 채색은 주조색인 적색과 녹색을 위주로 흰색과 황색, 청색 등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양록색의 사용이 눈에 띈다. 중앙에 천장보살과 권속을 배치하고, 향우측에 지지보살과 권속, 향좌측에 지장보살과 권속을 배치하였는데, 세 보살 모두 녹색과 양록색의 이중륜광(二重輪光)을 지니고 연화좌 위에 단정한 자세로 앉아 있으며, 앳된 둥근 얼굴에 작은 눈과 코, 입 등이 조화롭게 표현되었다.

천장보살은 보관을 쓰고 온몸에는 화려한 영락(瓔珞)과 천의를 걸치고, 오른손은 가슴 앞으로 들어 손가락을 마주잡고 있으며,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아 역시 두 손가락을 마주잡고 있다. 주위에는 진주보살(眞珠菩薩)과 대진주보살(大眞珠菩薩) 및 사공천중(四空天衆) · 십팔천중(十八天衆) · 육욕천중(六欲天衆) · 일월천중(日月天衆) 등이 시립하고 있다. 지지보살은 왼손에 경권(經卷)을 쥐고 있는 것만 다를 뿐 착의법과 보관, 영락 등이 천장보살과 거의 같으며, 용수보살과 다라니보살, 호법신중 등이 협시하였다. 지장보살은 왼손에 석장, 오른손에 보주를 들고 있으며,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 시왕(十王), 판관, 사자, 동자, 옥졸 등이 둘러싸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삼장보살탱은 (1776년)와 더불어 18세기 후반 전라도 지역 삼장보살도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할미디어, 2001)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김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