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건륭17년명 아미타후불탱 ( ▽)

양산 통도사 건륭17년 아미타후불탱
양산 통도사 건륭17년 아미타후불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이칭
이칭
통도사건륭십칠년아미타불회도|통도사건륭십칠년아미타설법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건륭17년명 아미타후불탱(通度寺乾隆十七年阿彌陀後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06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지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개설

1752년(영조 28) 제작된 아미타후불도로, 화기(畵記)의 명문 일부가 지워져 화승(畵僧)의 이름은 알 수 없다.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한 작품으로 크기는 세로 146㎝, 가로139㎝이다. 200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에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팔대보살과 사천왕을 배치한 아미타불회도이다. 이 불화는 늘씬한 형태의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강조되었는데, 각기 보관에 화불과 정병을 표현하고 손에는 연꽃을 들었다. 본존의 두광 주위에 배치된 지장보살은 손에 석장과 보주를 지니고 있다. 사천왕은 화면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어 외호중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10대 제자와 천중(天衆)이 표현되지 않아 권속의 수가 줄어든 이 불화는 여유 있는 공간에 원근감을 잘 나타냈다. 이중륜광형(二重輪光形) 광배를 지닌 본존의 얼굴은 이목구비가 가운데로 모여 있으며, 어깨와 팔이 부드럽게 표현되었다. 보살상과 사천왕의 형태는 섬세하게 표현되었는데, 갑옷의 형태는 육중하지만 나부끼는 천의자락이나 문양의 장식 표현이 정교하다. 다소 어두운 화면에 두텁고 약간은 가라앉은 듯한 적색과 녹색, 황색, 청색 등이 사용되었으며 구름의 형태가 뚜렷해지고 황색을 사용하여 화면이 밝아 보인다.

특징

이 불화는 딱딱한 좌우대칭적인 구도이지만 본존과 권속들이 자세한 묘사와 적절한 변화로 각자 개성 있는 모습으로 표현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의의와 평가

이 아미타후불탱은 명문이 남아 있어 조성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불화로서, 변화를 준 독창적인 구도에서 발전된 면을 볼 수 있다. 통도사에 남아 있는 다른 불화들과 더불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한국의 불화』 권1, 통도사 본사편(상)(성보문화재연구원, 1996)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