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건륭40년명 현왕탱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건륭40년 현왕탱
양산 통도사 건륭40년 현왕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건륭40년명 현왕탱(通度寺乾隆四十年現王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08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지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개설

200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08㎝, 가로 122㎝. 현왕과 권속들이 망자를 심판하는 광경을 간단하게 묘사한 것으로, 화원 임평(壬平) 등이 통도사 대법당의 불화로 조성하였다. 시왕은 사람이 죽은 후 7일 후에 망자를 심판하는 것과는 달리, 현왕은 사람이 죽은 지 3일 만에 망자를 심판하는 왕으로서, 다음 생에는 보현왕여래(普賢王如來)가 된다고 한다. 이 현왕탱은 ‘건륭 40년’, 즉 1775년(영조 51)의 명문이 있어 조성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내용

현왕은 대륜성왕(大輪聖王)과 전륜성왕(轉輪聖王)을 좌우 보처로 삼고, 대범천왕(大梵天王), 제석천왕(帝釋天王), 사천왕, 선악동자, 판관, 녹사(綠事), 감재사자(監齋使者), 직부사자(直府使者) 등을 권속으로 두고 있다. 화면의 중앙에는 흰 바탕에 수묵산수(水墨山水)가 그려진 5곡병풍을 배경으로 수염이 성성한 현왕이 금강경(金剛經)을 얹은 관을 쓰고 등 높은 의자에 앉아 왼쪽을 향하고 있다. 잔잔한 문양이 시문된 붉은 관복을 입은 현왕은 당당한 자세에 더부룩한 수염 등 왕으로서의 기품이 잘 드러나 있다. 보통 현왕도에서 벼루와 연적 등이 놓인 책상을 앞에 두고 있는 것과는 달리 두 손을 무릎 위에 대고 앉아 있는 모습이 이색적이다. 현왕의 앞쪽에는 허리를 구부린 채 왕을 향해 두루마리를 읽거나 홀을 들고 무엇인가를 보고하는 듯한 모습의 인물들이 묘사되었으며, 그 위로는 감재사자와 직부사자, 동자 등이 좌우 대칭으로 그려져 있다.

비교적 작은 화면에 인물들을 조화롭게 배치하였으며, 인물 사이사이에 채운을 그려 넣어 화려하면서도 꽉 찬 느낌을 준다. 채색은 녹색과 적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으며, 황색과 청색, 백색 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유려한 필선에 세밀한 필치, 짜임새 있는 구도 등이 돋보이며, 병풍 속의 수묵산수에서는 일반 회화적인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현왕탱은 명문이 남아 있어 조성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불화로서, 병풍 속의 수묵산수에서는 일반 회화적인 요소를 엿볼 수 있어 회화사적 가치가 크다. 통도사에 남아 있는 다른 불화들과 더불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