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상 ()

목차
식생활
물품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이 함께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차린 상.
이칭
이칭
두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이 함께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차린 상.
개설

겸상은 두 사람이 한 상에 마주 앉게 차린 상이고, 셋겸상은 세 사람이 한상에서 먹도록 차린 상이다. 예전에는 부친과 장성한 아들과는 겸상을 하지 않았으나, 어리고 성년이 되기 전에는 겸상을 하며, 할아버지는 손자와 함께 겸상을 하는 예가 많았고, 남녀가 겸상을 하지는 않았다.

내용

겸상은 약식으로 노부부, 미혼의 형제나 동서, 친구들 사이는 친밀하다는 뜻으로 한 상에 수저 두 벌과 진지와 탕을 두 그릇씩 놓아 겸상을 차린다. 찌개나 찜·김치와 그 밖의 반찬은 한 그릇씩 놓는다.

겸상 차릴 때는 손님이나 윗사람이 편하게 들 수 있도록 찬의 위치나 앉는 위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외상과 다른 점은 마주 앉기 때문에 수저를 각각 한 벌씩 놓고 밥과 국그릇은 따로 놓는다. 찌개와 찜그릇은 손님의 오른쪽 가까이 놓고, 장을 담은 종지도 손님의 가까운 곳에 놓는다. 반찬 중에 더운 음식과 고기 음식이나 별찬은 손님이나 윗사람 가까이에 놓고, 밑반찬은 어린 사람이나 주인이나 아랫사람 가까이에 놓는다.

참고문헌

『한국의 전통음식』(황혜성 외, 교문사,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