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 ()

초조반상 / 죽상
초조반상 / 죽상
식생활
물품
반상차림에서 주식을 죽으로 하고 곁들임 찬(饌)을 함께 차린 상차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반상차림에서 주식을 죽으로 하고 곁들임 찬(饌)을 함께 차린 상차림.
구조 및 형태

조자호의『조선요리법』에 기록된 죽상차림의 예시를 보면 죽과 함께 물김치류, 찌개, 포와 같은 마른찬과 간장 등 조미료가 함께 차려져 있다. 마른 찬으로는 포 이외에도 북어나 암치·건대구를 보푸라기로 만들어 놓거나 다시마·미역자반 등을 올리기도 한다. 궁중에서 초조반상(初早飯床)으로 차려질 경우에는 밥을 주식으로 한 수라상의 찬류와 거의 구색이 동일하다.

사용 방법 및 특징

왕실에서는 아침수라에 앞서 초조반상으로 죽수라가 올려졌고, 미음과 함께 식치(食治)음식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된 죽으로는 흰죽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열이 심할 때는 녹두죽, 비위를 보호하거나 상(喪) 중이라 육찬(肉饌)이 금지되었을 때는 타락죽을 올리기도 하였다. 그밖에 청량미죽·율무죽·부추죽·흑임자죽·연자죽 등이 병의 치료를 돕기 위한 차원에서 탕제와 함께 사용되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이른 아침 시간에 조반(朝飯)을 먹기에 앞서 가볍게 죽을 먹거나 보양(保養), 병후(病後)의 회복음식(恢復飮食) 뿐만 아니라 식량이 부족할 때 국가에서 구휼(救恤) 목적으로 죽을 배급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식치(食治) 전통과 왕실의 식치」(김호, 『조선시대사학보』45, 2008)
「한국상차림 구성과 식사예법」(한복진, 『인제식품과학포럼논문집』5권, 1997)
『한국민속대관』(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조선요리법』(조자호, 경성가정여숙(京城家政女塾), 194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