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직 ()

한경직
한경직
현대사
인물
해방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한국기독공보사 사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한 목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2년 12월 29일
사망 연도
2000년 4월 19일
출생지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
정의
해방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한국기독공보사 사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한 목사.
생애

1902년 12월 29일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에서 아버지 한도풍(韓道豊)과 어머니 청주 이(李)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출생했다. 1914년 김찬빈(金燦嬪)과 결혼했다. 진광소학교(1912∼1916), 오산학교(1916∼1919), 평양숭실대학(1922∼1925)에서 수학했다. 미국 엠포리아(Emporia College) 대학 1년을 수료(1926)한 후,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를 졸업했다. 1948년엠포리아 대학 명예신학박사, 1955년연세대학교 명예신학박사, 1977년숭실대학교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활동사항

1932년 귀국 후 평양숭인상업학교 교목 겸 교사, 숭실대학 강사로 활동했다. 1933년 신의주 제2교회에 전도사로 부임했고, 1934년 의산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39년보린원을 설립하여,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그 운영을 담당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윤하영 목사와 함께 신의주자치회와 기독교사회민주당을 조직하였다. 1945년 10월 월남 후, 같은 해 12월 2일 일본 천리교 경성교구본부를 접수하여 베다니전도교회를 설립하였다. 1946년 11월 12일 베다니전도교회를 영락교회로 개명하였다. 1947년 3월 27일영락보린원을 창설했고, 11월 5일대광중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한국전쟁 중인 1950년 7월 3일, 대전에서 기독교구국회를 출범하여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51년 8월 성경구락부를 개설하고, 11월 부산다비다모자원을 설립하였다. 1953년 1월영락고등공민학교를 설립하고, 홀트양자회(현 홀트아동복지회) 이사장 및 세계선명회(현 월드비전) 이사장으로 추대되었다. 1954년 영락모자원을 설립하고, 숭실대학 재건 초대 학장이 되었다. 195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0회 총회장과 한국기독공보사 사장, 1956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 회장을 역임했다. 1958년에는 학교법인 영락학원 초대 이사장, 1967년 숭실대학 이사장직을 맡았다. 1969년 영락여자신학교를 설립했다. 1983년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사업협의회 총재, 1984년 남강문화재단 이사장, 1988년 군복음화운동후원회 회장, 1990년 한국기독교총연합회(CCK) 명예회장 등의 직을 역임하며, 한국 기독교·문화·교육 등의 분야에 평생을 헌신했다.

한경직의 주요 저서로는 『건국과 기독교』, 『신자의 사회적 사명』, 『팔복』, 『민주국가의 정신적 기초』, 『한경직 목사 설교전집』, 『병상에서의 묵상』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70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고, 1985년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모교를 빛낸 영예의 동문상’ 수상하였다. 1992년 템플턴상을 수상하였으며, 1998년 ‘대한민국 건국공로장’을 수훈하였다.

국내 최대 개신교 교단 중 하나인 ‘대한예수교 장로회(장로교)’ 통합교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기여한 대표인물이고, 해방 후 서북 기독교 세력이 남한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인물이다.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 개신교의 양적 성장에 크게 기여한 종교인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한경직의 생애와 사상 연구」(이혜정,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83, 2008)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과 복음화운동」(이혜정,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6)
『아름다운 빈손 한경직』(김수진, 홍성사, 2000)
『한경직의 생애와 설교 연구』(홍성범, 장로회신학대학대학원, 1999)
『한경직의 생애와 사상』(한승홍, 장로회신학대학 출판부, 199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태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