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강구역 ()

정치·법제
지명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중심부 보통강 동쪽에 위치한 구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중심부 보통강 동쪽에 위치한 구역.
개설

보통강구역의 동쪽은 모란봉구역, 남쪽은 중구역과 평천구역, 서쪽은 보통강을 사이에 두고 만경대구역, 북쪽은 서성구역과 형제산구역에 접해 있다. 면적은 7.1㎢이고, 인구는 10만 5,180명(2008년)이다.

명칭 유래

보통강구역(普通江區域)은 1960년에 중구역의 보통강동(普通江洞), 서장동(西將洞), 석암동(石岩洞) 등 8개 동과 외성구역의 운하동(運河洞)을 병합하여 신설된 구역에 붙여진 지명이다. 이는 구역의 서쪽에 위치한 만경대구역과의 경계에 있는 보통강(普通江, 55.2km)에서 유래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평양)에는 “평양강(平壤江)은 부 서남쪽 10리에 있다. 그 근원이 순안현(順安縣) 법홍산(法弘山)에서 나와서 보통문(普通門) 밖을 지나 구진익수(九津溺水)와 합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유추해 보면 평양강이 후에 평양 내성(內城)의 서쪽에 위치한 보통문(普通門)의 이름을 따서 보통강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환경

봉화산(烽火山, 94m), 도두산(都頭山), 작약산(作藥山) 등 낮은 구릉을 형성하는 구역의 북서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보통벌이라 부르던 평야지대로 지금은 시가지로 변하였다. 서부는 보통강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북부와 동부·남부는 모두 보통강 운하가 감싸고 있어 4면이 하천으로 둘러싸여 있다.

하천에는 둥근섬으로 부르는 만월도(滿月島)와 딸기섬으로 부르는 반월도(半月島), 서천도(西川島), 흥천도(興川島), 금란도(禽卵島), 동각도(東角島), 서각도(西角島), 운하섬 등의 하중도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통강 2동에 서식하고 있는 보통강뽀뿌라나무가 천연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조선시대에는 평양부(平壤府) 인흥부(仁興部)의 용산방(龍山坊)에 속하였다. 1896년에 평양부 용산면(龍山面)이 되었다가 1914년에 그대로 평안남도 대동군(大同郡) 용산면이 되었다. 1930년대에 다시 일부 지역이 평양부에 편입되었으며 1946년에 평양특별시 중구(中區)로 개편되었다.

1952년에 중구역으로 개칭되었고, 1960년에 중구역의 굴원동(窟院洞), 대타령동(大駝嶺洞), 미륵동(彌勒洞), 보통강동(普通江洞), 서장동(西將洞), 서재동(書齋洞), 석암동(石巖洞), 적굴동(赤窟洞) 등 8개 동과 외성구역의 운하동(運河洞)을 병합하여 보통강구역이 신설되었다. 이후 여러 번의 행정구역 조정을 통해 일부 동이 신설·폐지되었다.

2002년 기준으로 행정구역은 15동(경흥동, 낙원동, 대보동, 보통강1·2동, 봉화동, 붉은거리1·2·3동, 서장동, 석암동, 세거리동, 신암동, 유경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역의 소재지는 보통강1동이다.

현황

구역에는 봉화거리를 중심으로 고층의 살림집과 105층 유경호텔이 있다. 산업시설로는 국제통신국·보통강양해합영회사·평양염화비닐신발공장 등이 있고, 문화시설로는 공업출판사·금성청년출판사·낙원영화관·조선중앙통신사·청년전위신문사 등이 위치한다. 교육시설로는 평양교원대학과 평양컴퓨터기술대학이 있고 그 외에 종합상업시설인 경흥관을 비롯하여 보통강유원지가 조성되어 있다. 또 보통강약수·봉화산약수 등이 질병예방에 이용되고 있다.

교통은 평의선·평부선·평남선이 통과하는데, 평남선에 보통강역이 설치되어 있다. 대중교통으로 지하철 혁신선에 건국역·황금벌역·건설역이 설치되어 있고, 낙랑∼서평양역간 궤도전차와 평양역∼서평양역간·황금벌역∼개선문간·화력발전소∼서평양역간 무궤도전차를 비롯하여 시내 주요 구역을 연결하는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주요 다리로는 봉화다리로 서성구역과, 보통교·서성교·신서다리로 중구역과 각각 연결된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1917)
『조선지형도(1:50,000)』(1914∼1917)
『호구총수』(1789)
『2012 북한의 주요통계지표』(통계청, 2012)
『2009 북한개요』(통일연구원, 2009)
『2008 북한 인구조사 보고서』(북한중앙통계국, 2009)
『조선향토대백과』1(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 평화문제연구소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조선지명편람(평양시)』(방린봉 외 지음, 세종출판사,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