룡성구역 ()

정치·법제
지명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북쪽에 위치한 구역.
이칭
이칭
용성구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북쪽에 위치한 구역.
개설

룡성구역은 동쪽으로 평양직할시 은정구역과 삼석구역, 남쪽으로 평양직할시 대성구역, 서쪽으로 평양직할시 순안구역과 형제산구역, 북쪽으로 평안남도 평성시를 접하고 있다. 면적은 96.6㎢이고, 인구는 19만 5,891명(2008년)이다.

명칭 유래

룡성구역(龍城區域)은 1959년에 평안남도 순안군의 일부 지역과 평양시 대성구역의 청계리(淸溪里)·화성리(和盛里)를 병합하여 구역이 신설되면서 형성된 지명이다. 이는 구역의 남쪽에 위치한 룡성동(龍城洞)에서 유래하였는데, 룡성은 원래 평양부 임원면(林原面) 룡성리(龍城里) 지역으로 이곳에 있던 도룡동(都龍洞) 마을의 ‘룡(龍)’자와 능성(綾城) 마을의 ‘성(城)’자를 합성한 이름이다.

자연환경

구역의 대부분이 산지를 이루는데 북부는 룡골산(龍骨山, 430m)을 경계로 평성시와 접하고, 동부는 청룡산줄기가 북에서 남으로 지나면서 마산(馬山, 300m)·국사봉(國寺峯, 444m)·청운산(靑雲山, 363m)·건지산(乾芝山, 214m)·자지산(紫芝山, 328m) 등이 분수계를 이룬다. 서부는 입불산(立佛山, 210m)·사방산(四方山)·서명산(西明山) 등이 뻗어 있다.

하천은 국사봉 남서쪽 산록의 대천동 일대에서 발원하여 삼석구역 장수원동에서 대동강으로 흐르는 노산천(魯山川, 11.9km)이 있다. 또 합장강(合掌江)이 구역의 중심을 흐르면서 주변에 좁은 평야를 형성한다.

형성 및 변천

조선시대에는 평양부(平壤府) 인흥부(仁興部)의 임원방(林原坊)과 지안부(智安部)의 부산방(斧山坊)·시족방(柴足坊)에 속하였다. 1896년에 평양부 임원면(林原面), 부산면(斧山面), 시족면(柴足面)이 되었다가 1914년에 그대로 평안남도 대동군 임원면, 부산면, 시족면으로 분리되었다.

임원면 지역은 1930년대에 미산리(嵋山里)·용흥리(龍興里)·청암리(靑岩里)가 평양부에 편입되었고, 1946년에 고산리(高山里)·남사리(南四里)·북사리(北四里)·상오리(上五里)·양암리(陽岩里)·청호리(淸湖里)가 평양특별시에 흡수되었다. 시족면 지역은 1947년에 강동군으로 이관되었고, 1952년에 승호군에 편입되었다. 부산면 지역은 1952년에 순안군에 흡수되었다.

1959년에 순안군의 일부 지역과 평양시 대성구역의 청계리와 화성리를 병합하여 룡성구역이 신설되었다. 이때 룡성로동자구(龍城勞動者區)를 룡성동(龍城洞)으로 개편하고 마산리(馬山里)·서리(西里)·신미리(新美里)·중이리(中二里)·청계리(淸溪里)·하리(下里)·하차리(下次里)·화성리(和盛里) 등 9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이후 여러 번의 행정구역 조정을 통해 일부 동리가 이관되거나 신설·폐지되었다.

2002년 기준으로 행정구역은 15동(대천동, 마산동, 명오동, 어은동, 룡궁1·2동, 룡문동, 룡성1·2동, 룡추1·2동, 임원동, 중이동, 청계동, 화성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역의 소재지는 룡성1동이다.

현황

구역에는 산업시설로 마람배합사료공장·모란봉김치공장·룡성고기가공공장·룡성닭공장·평양온실농장 등이 있다. 연구시설에는 농업과학연구원·농업화학연구소·수의학연구소·토양학연구소 등이 있고, 교육시설로는 룡성식료공업대학·평양농업대학·평양화성공업대학 등이 있다

교통은 평양∼만포간 1급도로가 중심부를 통과하고, 룡성∼순안간·룡성∼어은동간 2급도로가 있으며, 대중교통으로 연못동∼룡성간 무궤도전차와 룡성∼미림간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철도는 평라선이 동서로 지나고, 룡성선이 남북으로 연결되어 동북리역, 새동역, 중이역이 설치되어 있다. 유물·유적으로 룡궁동무당골무덤(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1호), 청계동월봉산무덤떼(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2호), 룡추동나무곽무덤, 장촌유적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1917)
『조선지형도(1:50,000)』(1914∼1917)
『호구총수『(1789)
『2012 북한의 주요통계지표』(통계청, 2012)
『2009 북한개요』(통일연구원, 2009)
『2008 북한 인구조사 보고서』(북한중앙통계국, 2009)
『조선향토대백과』1(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 평화문제연구소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조선지명편람(평양시)』(방린봉 외 지음, 세종출판사,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