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석구역은 동쪽으로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평양직할시 강동군, 남쪽으로 평양직할시 승호구역, 서쪽으로 평양직할시 은정구역·용성구역·대성구역, 북쪽으로 평안남도 평성시와 접해 있다. 면적은 183.8㎢이고, 인구는 6만 2,790명(2008년)이다.
삼석구역(三石區域)은 1959년에 승호군과 강동군의 일부를 병합해 신설한 구역이다. 지명은 이 구역의 남서쪽에 있던 평양부 시족면(柴足面) 삼석리(三石里)에서 유래하였다. 삼석은 범바위·선바위·장수바위 등 마을에 있던 세 개의 기이하게 생긴 큰 돌을 의미한다.
구역의 북부와 서부는 비교적 높은 산지를 이루고, 동부와 남부로 갈수록 완만한 구릉과 충적평야가 전개된다. 서부는 청룡산줄기가 은정구역과 용산구역의 경계를 이루는데, 백족산(百足山, 393m)·국사봉(國寺峯, 444m)·청운산(靑雲山, 363m)·건지산(乾芝山, 214m)·대성산(大城山, 270m)·심성산(尋聖山, 371m) 등이 뻗어 있다. 남동부는 봉황산(鳳凰山, 166m)·광대산(廣大山, 104m) 등이 낮은 산지를 이루고, 그 외에 손자산(孫子山, 355m), 교자봉(轎赭峯) 등이 솟아 있다.
하천은 대동강이 구역의 동부와 남부를 북쪽에서 남서쪽으로 감싸고 흐른다. 서남부에는 장수원천(長壽院川)이 삼석리 청운산에서 발원해 장수원동을 경유하여 대동강에 유입되며, 철봉천(鐵峯川)은 문영동 철봉산(鐵峯山)에서 발원하여 성문1동에서 성문천(聖文川)과 합쳐져 호남리에서 대동강으로 흘러든다. 또 호남리자라살이터가 천연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평양부(平壤府) 지안부(智安部)의 시족방(柴足坊)과 강동군(江東郡)의 고천방(高泉坊)에 속하였다. 1896년에 평양부 시족면(柴足面)과 강동군 고천면(高泉面)이 되었다가 1914년에 그대로 평안남도 대동군(大同郡) 시족면과 강동군 고천면이 되었다. 시족면 지역은 1947년에 강동군 시족면이 되었고, 1952년에 면 전체가 평안남도 승호군에 편입되었다.
1959년에 승호군과 강동군의 일부 리들을 병합하여 평양시 삼석구역(三石區域)으로 개편되면서 광덕리(廣德里)·노산리(魯山里)·대천리(大泉里)·도덕리(道德里)·삼석리(三石里)·삼성리(三成里)·성문리(聖文里)·원신리(元新里)·원흥리(圓興里)·호남리(湖南里) 등 10개 리를 관할하였다. 이후 여러 번의 행정구역 조정을 통해 일부 동리가 이관되거나 신설·폐지되었다.
2002년 기준으로 행정구역은 4동(문영동, 성문1·2동, 장수원동) 7리(광덕리, 도덕리, 삼석리, 삼성리, 원신리, 원흥리, 호남리)로 구성되어 있다. 구역의 소재지는 성문1동이다.
농업은 구역의 리마다 설치되어 있는 광덕·삼성·호남 등 각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벼·옥수수·메밀 등의 곡물류을 비롯하여 무·배추·오이·고추 등의 채소류, 사과·배·복숭아 등의 과일류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땅콩이 지역특산물로 재배되고 있다. 1983년에 구역의 도덕리와 강동군 봉화리 사이를 흐르는 대동강을 막아 봉화갑문(烽火閘門)을 설치하였고, 성문천을 막은 성문저수지와 장수원천을 막은 장수원저수지가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농업이 중심산업을 이루어 산업시설은 다른 구역에 비해 발달하지 못하여 도덕오리공장과 삼석8월풀정제공장 등이 위치하는 정도이다. 교통은 평양∼원산간 1급도로와 삼석∼은정간·삼석∼용성간 2급도로가 관내를 통과하며, 대중교통은 삼석∼대성산간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유물·유적으로는 호남리사신무덤(국가지정문화재 국보급 제26호), 개마무덤(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3호), 내리고구려무덤(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5호), 토포리고구려무덤떼(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6호), 광대산고구려무덤떼(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7호), 광덕리옛성(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584호), 남경유적(南京遺跡) 등 다수의 문화재들이 산재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