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고려무인정권 말기 서해도(西海道)에 안찰사(按察使)로 파견되었다.
1270년(원종 11) 2월 25일(乙未) 임연이 죽자 임연의 아들 임유무(林惟茂)가 교정별감(敎定別監)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5월 원종이 원나라에서 귀국 길에 올라 출륙환도(出陸還都, 開京還都)를 명령하자 임유무는 전국에 수로방호사(水路防護使), 산성별감(山城別監) 및 야별초(夜別抄)를 보내어 몽고에 대해 재항전을 다짐하였다. 또한 김문비(金文庇)로 하여금 야별초를 거느리고 교동(喬桐)을 지키게 하여 원종을 호위해 고려에 온 투렝게[頭輦哥] 국왕의 몽고군을 막게 하였다.
이때 서해도 안찰사 변량은 원종이 귀국한다는 소문을 듣고 직접 왕의 행재소(行在所)에 달려가 왕을 맞이하였다. 변량이 북계(北界) 국경과 가까운 서해도의 안찰사였다는 점에서 안찰사 중에서도 원종을 가장 먼저 배알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변량의 역할로 보아 임유무정권 타도에 영향을 미쳤던 것이 분명하며, 변량은 국왕의 출륙환도 명령을 지지하였던 국왕파 문신이었다고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