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천하는 청춘 (하는 )

승천하는 청춘 / 김동환
승천하는 청춘 / 김동환
현대문학
작품
김동환의 서사시.
정의
김동환의 서사시.
구성 및 형식

16×11cm. 179면. 김동환의 두 번째 서사시로, 1925년 12월 25일 신문학사에서 ‘장편 서사시’라는 명칭을 달고 한 권의 독립된 시집으로 간행되었다. 전체가 7부 6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에는 제목이 붙어 있다. 1부는 ‘태양을 등진 무리’(11장), 2부는 ‘이년 전’(7장), 3부 ‘눈 우에 오는 봄’(9장), 4부 ‘혈제장(血祭場)의 노래’(10장), 5부 ‘순정(殉情)’, 6부 ‘피리 부는 가을’(7장), 7부 ‘승천하는 청춘’(7장) 등이다.

내용

이 작품은 일본의 조선인 이재민수용소인 ‘습지야 이재민수용소’와 1920년대 조선을 배경으로 하여, 한 여인과 청년의 비극적인 삶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과거와 현재를 교차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제1부의 맨 처음에 제시되는 장면은 스산한 공동묘지의 밤 풍경과 한 여인이 어린 딸을 공동묘지에 몰래 묻으러 오는 장면, 그리고 한 청년이 몰래 그를 따르는 장면이다. 제2부부터는 이 두 사람의 만남과 헤어짐이 시간 순서대로 구체적으로 전개된다. 줄거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후 조선인 이재민을 수용하는 습지야 이재민수용소에서 폐병 3기의 오빠와 그의 누이인 여인, 그리고 오빠의 친구인 청년이 만난다. 오빠는 병으로 죽고, 남은 여인은 청년과 사랑을 나누게 된다. 그러나 그 청년이 불온분자로 잡혀 가버리자 혼자 남은 여인은 유학을 포기하고 고국으로 돌아와서 소학교 교사로 일한다. 헤어진 청년이 죽은 줄로 알고 여인은 동료 교사와 결혼하여 잠시 행복한 시간을 보내지만 곧 결혼에 회의를 느낀다. 그동안 청년은 일본에서 탈출하여 귀국 후 독립운동에 투신한다. 그러나 청년도 자신의 일에 회의를 느끼고 헤어진 여인을 찾아 깽깽이를 켜며 전국을 돌아다닌다. 여인은 우연히 이 청년과 마주치지만 깜짝 놀라 도망치듯 사라진다. 여인은 결혼 4개월만에 옛 애인인 청년의 아이를 낳게 되자 결혼은 파경에 이른다. 여인이 딸을 데리고 집을 나와 서울로 올라와서 힘들게 삶을 꾸려나가는 중에 딸이 갑자기 죽어버린다. 마지막에 여인은 어느 천주교당에서 청년을 만나 함께 죽는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청춘남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통해 관동대지진 때의 조선인 수용소와 당시 조선의 상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당시 조선의 비참한 상황에 대한 비판적인 의식을 드러내며 시의 사회적, 역사적 대응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파인 김동환」(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현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