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세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에 산림 자원을 이용하는 산간 주민으로부터 징수하던 세금.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산림 자원을 이용하는 산간 주민으로부터 징수하던 세금.
내용

고려시대 산세(山稅)는 염세(鹽稅)·선세(船稅)·어량세(漁梁稅) 등과 함께 잡세(雜稅)로 분류된다. 주로 유실수를 이용한 대가로 징수한 것인데, 다른 잡세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거두기 시작하였다. 1088년(선종 5)에 이미 밤나무와 잣나무의 큰 것은 3되, 중간 것은 2되, 작은 것은 1되로 하고, 옻나무는 나무마다 1되씩 징수토록 하는 규정이 마련되었다.

이후의 변화는 잘 알 수 없으나, 충혜왕 때에는 새로 설립한 보흥고(寶興庫)의 재원 확충을 위해 이의 징수를 한층 강화했는바, 강릉도(江陵道)에서만 산세로 잣 3천석을 바칠 정도였다. 하지만 원 간섭기에는 권세가들이 산림을 점탈하여 무겁게 과세하는 경우가 많아 국가재정이 궁핍해지고 민의 생활이 쇠잔해지는 폐단이 빈발하였다. 이에 1356년(공민왕 5)에는 그간 권세가들이 차지했던 산림을 선공시(繕工寺)에 소속시켜 철저하게 관리하고 산세를 낮추어 민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대체로 군·현(郡縣)보다는 도(道)를 단위로 부과·수취된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박종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상』(백남운, 개조사, 1937)
「고려 세역제도사 연구」(김재명, 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4)
「잡세」(이정희,『한국사』14, 1993)
「高麗賦役考覈」(今堀誠二,『社會經濟史學』9-3·4·5, 193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