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행사를 거행하기 위해 임금이 행차할 때 수행하던 악대가 연주했던 음악을 일컫는다. 궁궐 안에서 왕이 이동할 경우와 궁궐 밖에 위치한 장거리 장소에 거둥할 때, 악대의 종류가 달라졌으며 악대의 성격에 따라 악곡도 변화되었다.
어가행렬에 악대가 수반되는 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부터 보이며, 고려시대에는 국왕의 거둥에 동원되었던 위장(衛仗)과 노부(鹵簿)에 악기가 편성되어 음악이 연주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왕이 성(城) 안에 행차할 때 전부고취(前部鼓吹)와 후부고취(後部鼓吹)가 「여민락만」ㆍ「성수무강만」ㆍ「낙양춘」ㆍ「여민락령」ㆍ「보허자령」ㆍ「환궁악」 등을 연주하였다. 왕이 성 밖을 행차할 경우에는 취고수(吹鼓手)와 세악수(細樂手)가 행악을 담당하였다. 취고수는 「대취타(大吹打)」를, 세악수는 「취타」ㆍ「길군악」ㆍ「길타령」ㆍ「별우조타령」ㆍ「군악」을 연주하였다. 왕의 성 안팎 행차에 수반되는 악대로는 내취(內吹)가 유일하며, 레파토리는 취고수ㆍ세악수의 것과 같다. 이러한 행악의 전통은 현재 대취타로 전승되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