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국악대상 (KBS)

국악
의례·행사
KBS에서 매년 12월 국악의 발전에 기여한 국악인에게 수여하는 공로상. 상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KBS에서 매년 12월 국악의 발전에 기여한 국악인에게 수여하는 공로상. 상훈.
개설

이 상은 한 해 동안 공연, 방송 등의 활동을 통해 국악의 발전에 기여한 국악인들의 공헌도를 치하하기 위해 KBS에서 제정하였다. 분야별로 수상자를 선정하여 연말마다 시상식을 한다.

연원 및 변천

1982년부터 2012년까지 단절되지 않은 채 31회에 걸쳐 시행되었다.

행사내용

이 상은 공적, 연령, 국적에 치우치지 않고 당해 연도 활동 실적과 국악발전에 기여한 공헌도만을 참고하여 시상한다. 기 수상자도 재수상 가능하다. 수상부문의 대상자가 없을 때는 시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국가무형유산 예능보유자는 수상자 후보에서 제외되지만, 예외로 특별공로부문에서는 수상 가능하다.

수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사무국 설치, 소위원회 구성, 본심사위원회 구성의 과정을 거친다. 사무국은 이 상이 제대로 운영되도록 관리하는 기구이다. 사무국장은 KBS 국악담당 PD가 역임한다. 소위원회는 수상 후보를 추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무국에서 위촉한 10인 내외의 사내외 위원들로 구성되며, 10월 중 회의를 열어 분야별로 15인 내외의 추천인단을 선정한 후 다시 각 부문별로 3명씩으로 축소시켜 수상자 후보 명단을 올린다. 본심사위원회는 수상자를 최종 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무국에서 위촉한 9인 내외의 위원들로 구성되며, 수상자 후보 명단을 검토한 후 수상자를 투표로 최종 결정한다. 그러나 대상 수상자는 미리 정하지 않고, 특별공로상을 제외한 각 부문 수상자 중 1인을 행사 당일 투표로 선정한다.

수상 부문은 가악상, 민요상, 판소리상, 연주(관악)상, 연주(현악)상, 연주(단체)상, 작곡상, 출판 및 미디어상, 무용상, 특별 공로상 이상 10개로 구성된다.

역대 수상자 중 대상 수상자만 밝히면 다음과 같다. 1982년∼1986년 없음, 1987년 안숙선, 1988년 성우향, 1989년 중앙국악관현악단, 1990년 김혜란, 1991년 김일구, 1992년 조창훈, 1993년 이상규, 1994년 김혜란, 1995년 김영임, 1996년 김호성, 1997년 박인기, 1998년 한국창작음악연구회, 1999년 곽태규, 2000년 이재숙, 2001년 박용호, 2002년 김영재, 2003년 정대석, 2004년 윤중강, 2005년 백영춘, 2006년 김정집, 2007년 정회석, 2008년 김선옥, 2009년 김성경, 2010년 성의신, 2011년 변종혁, 2012년 진유림.

참고문헌

「KBS국악대상 시행세칙」
KBS국악대상(www.kbs.co.kr/1tv/sisa/kookakawards)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