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만영 ()

국악
인물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수, 국립국악원 원장 등을 지낸 국악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35년 8월 15일
사망 연도
2007년 3월 21일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수, 국립국악원 원장 등을 지낸 국악학자.
개설

본래 영문학을 전공한 후 중학교 교사생활을 하다가 서울대 국악과로 편입하였다. 서울대 국악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1992년에 교수직을 사임한 후 목회활동에 전념하다가 별세하였다.

생애

1935년 8월 15일에 서울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인천여중, 숭문고에서 교사생활을 하였다. 1964년에 서울대 국악과에 편입하여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서울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1974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단장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국립국악원 제6대 원장을 겸임하기도 하였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을 지냈고, ’86 아시안게임과 ’88 올림픽의 문화축전 및 개‧폐회식 행사위원을 담당하였다. 1988년에는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1992년에 교수직을 사임한 후 목회활동에 힘쓰다가 2007년에 별세하였다.

활동사항

다양한 이력 중 국악학자로서 남긴 주요 활동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과 저서를 비롯한 다양한 글을 통해 한국음악학계에 학문적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대표 저서로는 『한국민요집(韓國民謠集)』, 『범패(梵唄):상주권공』(제록스본), 『국악개론』(1975), 『한국불교음악연구(韓國佛敎音樂硏究)』, 『동양음악(東洋音樂)』(1989)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범패 짓소리와 홋소리의 비교 연구」, 「태백산백 이동지방(以東地方)의 민요선법의 연구」, 「동음집에 관한 연구」, 「세종조 음악적 업적」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에는 민요, 범패, 무용, 동양음악, 종족음악학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범패 연구의 초석을 놓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둘째, 국악인의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였다. 국악관현악 운동을 일으켜 시‧도립 국악관현악단 설립의 기초를 다졌으며, 전국 국악과 설립 확산에 힘을 기울였고, 국립국악원의 정원을 증원시켜 국립국악원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상훈과 추모

『한국음악연구』 제42집이 고(故) 한만영 선생 추모 특집으로 기획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음악연구』(한만영, 서울대학교출판부, 1984)
「고 한만영 선생 연보 및 저작연표」(『한국음악연구』 제42집, 한국국악학회, 2007)
「선생님 나의 선생님」(박상원, 『한국음악연구』 제42집, 한국국악학회, 2007)
「선생님을 생각하며」(송지원, 『한국음악연구』 제42집, 한국국악학회, 2007)
「존경하는 고(故) 한만영 선생을 추모하며」(황준연, 『한국음악연구』 제42집, 한국국악학회,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