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봉가토리 (난봉토리)

목차
국악
개념
황해도민요 「난봉가」계통의 소리에 나타나는 토리. 반수심가토리.
이칭
이칭
반수심가토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황해도민요 「난봉가」계통의 소리에 나타나는 토리. 반수심가토리.
개설

난봉가토리는 일명 반수심가토리라고도 하며, 서도 음악에 나타나는 토리(음계)들 중 하나이다.

내용

반수심가토리라고도 부르는 난봉가토리는 대개 주요 구성음이 라, 도', 레', 미', 솔'인 3도+2도+2도+3도의 음정 관계로 되어있고, 제4음 ‘미'’에 굵은 요성과 선율의 중심음 기능이 나타난다. 그리고 수심가토리의 성격이 특히 강하게 나타날 때는 제3음 ‘레’(경토리의 ‘도’)가 생략되는 경우(라, 도', 미', 솔')도 있다. 이 토리는 경토리와 수심가토리가 혼재된 형태로 볼 수 있다.

토속민요에서는 경기 서북부지역의 논매는소리 「어허리소리」와 만선 풍장소리 「배치기소리」, 통속민요에서는 「난봉가」계통소리(「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사설난봉가」 등), 20세기 전반 「개성난봉가」, 「한강수타령」 등에 나타난다. 예전에는 서울, 경기음악에도 종종 나타났지만, 현재는 서도음악문화권과 단절되며 소멸하거나 경기화(반경토리로 변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문헌

『경기도의 토속민요』(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민속원, 2013)
「서도민요 「긴난봉가」에 대한 史的 고찰-사당패 「동풍가」와 음악적 관련성을 토대로」(손인애,『한국민요학』23. 2008)
「20세기 전·후반기 경·서도 통속민요의 변모 양상」(손인애,『경기전통예술 시리즈 II -경기잡가』, 2006)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