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입창 ()

목차
국악
개념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남도지역에서 서서 부르는 잡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남도지역에서 서서 부르는 잡가.
개설

전라도지방에서 부르던 선소리계통 노래로, 경·서도 입창과 대를 이룬다.

내용

남도 입창은 경·서도 입창의 영향으로 형성되었으며, 남도 잡가라고도 한다. 전형적인 남도 입창은 「보렴」, 「화초사거리」이며, 이들 소리에는 경·서도 입창의 특징이 부분적으로 나타나 그 깊은 영향을 짐작케 한다. 이외에도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새타령」, 「성주풀이」를 잇대어 부르는데, 이들 소리는 민요로 보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고리타령」 등은 경·서도 입창에서 연이어 부르는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 「개구리타령」을 흉내 내어 비롯된 사실이 지적된 바 있다.

남도는 판소리의 고장답게 판소리 명창들이 잡가도 많이 불렀다. 고종 때 전라남도 옥과 출신의 신방초가 「화초사거리」를 만들면서 다른 입창 및 해당 소리꾼들이 나오게 되었다는 말이 있다. 조선말에는 장판개, 조진영, 김정문 등이 남도잡가의 명창으로 유명하였고, 이들은 원각사, 광무대 등을 중심으로 「보렴」, 「화초사거리」, 「남도산타령」, 「새타령」, 「성주풀이」를 불렀다. 이런 영향으로 광복 후 현재까지도 판소리 창자들이 대개 남도잡가를 같이 부르고 있어, 잡가나 민요의 명창이 따로 독립해 있지는 않다. 이에 시김새와 발성법이 판소리와 흡사하다.

경·서도 입창이 근세기 상업화된 극장 공연문화에 걸맞게 기존 사당패 선소리를 토대로 재창출된 사실이 밝혀져, 남도 입창도 이와 같은 음악적 맥락 아래 생성, 발전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참고문헌

『잡가』(한국국악학회, 1983)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서울대 출판사, 1975)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5)
「남도민요(잡가) 「흥타령」에 대한 史的 고찰」(손인애,『한국음악연구』46, 2009)
「자진 육자백이의 성립과 음악적 배경」(김혜정,『한국음반학』10, 2000)
「육자배기의 잡가화과정과 음악적 구조의 변화」(김혜정,『한국음반학』7,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