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나리토리

목차
국악
개념
한반도 동부지역에서 전승된 민요 · 무가 · 기악 등에 주로 나타나는 토리. 메나리조.
이칭
이칭
메나리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반도 동부지역에서 전승된 민요 · 무가 · 기악 등에 주로 나타나는 토리. 메나리조.
개설

한반도 동부지역에서 전승된 민요, 무가, 기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음계이자 선율로, ‘메나리조’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용

메나리토리는 주요 구성음이 미, 솔, 라, 도', 레'이고, 미-라-도'의 4도+3도 관계가 선율진행의 중심이 된다. 그런데 이 토리는 선율이 상행할 때와 하행할 때의 음조직과 시김새가 조금 차이가 있다. 즉, 대개 상행할 때는 ‘레'-도'’에 짧은 퇴성이 나타난다면, 하행할 때는 이들 음에 서서히 점진적으로 흘러내리는 퇴성이 나타나며 ‘솔’도 이때만 출현하다. 이는 같은 동남토리인 육자배기토리의 퇴성과도 그 특징이 흡사하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가장 기층음악인 토속민요와 무가 외 기악곡, 통속민요, 곡소리, 장사꾼이 외치는 소리에도 대부분 메나리토리가 나타난다. 메나리토리로 된 대표적인 토속민요는 경상도 모심는소리 「정자소리」와 논매는소리 「방아소리」, 통속민요는 「쾌지나칭칭」, 「옹헤야」,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신고산타령」 등이 있다. 이 토리는 토속민요에서 지역적으로 가장 넓은 분포권을 이루어, 그 음악적 기능 및 역사를 가늠케 한다.

참고문헌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서울대학교 출판사, 1976)
「동남(東南)토리 음구조 유형 생성과 변이-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를 중심으로-」(이보형,『한국음악연구』44, 2008)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