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잽이장단 (삼공잽이)

목차
국악
개념
동해안 지역의 굿음악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장단.
목차
정의
동해안 지역의 굿음악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장단.
개설

삼공잽이장단은 지옥가, 꽃노래, 뱃노래, 초롱등노래 등의 무가를 반주하는 동해안 무악의 대표적인 장단으로, 징을 세 번 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내용

동해안 지역 무악에서 삼공잽이는 장단 이름으로만 쓰이며, 삼공잽이 장단이 쓰이는 거리는 다음과 같다. 경남 동해안 지역은 별신굿에서 밧당 조상굿 및 이운맞이, 오구굿에서 골맥이서낭굿, 초망자굿, 시왕탄일굿, 영산맞이, 뱃노래, 꽃노래, 초롱등노래 거리이고,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는 오구굿에서 판염불 거리, 별신굿 및 오구굿에서 뱃노래, 꽃노래, 초롱등노래 거리이다.

삼공잽이장단은 박자가 다른 장단이 세 번 바뀌는 3장 구성이다. 예전에는 무당들이 삼공잽이장단으로 반주하는 무가를 모두 3장으로 불렀지만, 현재는 대개 지옥가를 삼공잽이 1장, 2장으로만 부르고, 꽃노래, 뱃노래, 등노래는 삼공잽이 3장으로만 부른다.

삼공잽이 1장은 무당이 무가를 몇 장단 부르면 악사가 타악기를 몇 장단 연주하는 식으로 교대가 되며, 3+2+3(♩.+♩+♩.) 혼소박 4개가 모인 장단이다. 삼공잽이 2장은 템포 ♩.≑60에 3소박 4박자(♩.×4)가 한 장단이 되는 음악이다. 먼저 무가가 두 장단을 연주하면 이어 타악기들이 두 장단을 연주한다. 삼공잽이 3장은 빠르기가 ♩.≑63인 3소박 4박에 무가를 부르면 그에 맞춰 바라지를 한다. 그리고 템포를 빠르게 점점 몰아가면 이를 ‘막넘기는 장단’이라 하고, 이때는 바라지 없이 타악기들로만 반주한다.

참고문헌

『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장휘주, 민속원, 2009)
「삼공잽이 장단의 구성과 연행자의 인식」(정호봉·손정진,『한국무속학』23, 2011)
「동해안 별신굿 중 지옥가의 삼공잽이장단 리듬변화 연구: 장구 장단을 중심으로」(조정윤,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집필자
손인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