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토리는 서도지역 음악에서 나타나는 모든 토리를 총칭하는 말이며, 현재 확인되는 것으로 수심가토리, 반수심가토리(일명 난봉가토리), 북부경토리가 있다.
서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토리는 단연 수심가토리이며, 반수심가토리와 북부경토리가 조금씩 나타난다.
수심가토리는 주요 구성음이 레, 미, 솔, 라, 도'의 5음이며, 이 중 레-라-도'의 5도+3도 관계가 선율진행의 중심을 이룬다. ‘도'’에는 퇴성(꺾는 목), ‘라’에는 선율의 중심이 되는 기능과 함께 서도 특유의 콧소리로 탈탈 떠는 요성이 나타난다. 수심가토리의 특성이 강할 때는 제3음 ‘솔’(경토리의 주요음 ‘도'’)이 생략되기도 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음악이 서도민요 「수심가」이다.
반수심가토리는 일명 〈난봉가토리〉라고도 하며, 주요 구성음이 라, 도', 레', 미', 솔'인 3도+2도+2도+3도 관계의 음구조로 되어있고, 제4음 ‘미'’에 굵은 요성과 선율의 중심음 기능이 나타난다. 이 토리 역시 수심가토리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날 때는 제3음 ‘레’(경토리의 주요음 ‘도'’)가 생략되기도 한다. 서도민요 「난봉가」계통소리가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음악이다.
북부경토리는 주요 구성음이 솔, 라, 도', 레', 미'로 경토리와 같지만, 경토리의 주요음인 제3음 ‘도'’의 기능이 약하고 수심가토리의 주요음인 제4음 ‘레'’(수심가토리의 주요음 ‘라’)에 굵은 요성과 중심음의 기능이 나타나는 토리이다. 즉, 수심가토리와 경토리가 섞인 형태로, 수심가목을 가진 창자가 경토리로 된 음악을 부를 때 주로 나타난다. 북부경토리는 황해도 토속민요 「방아타령」에서 확인된다.
이들 토리를 통해, 전통시대 경, 서도음악의 활발한 교류와 함께 다양한 토리 양상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