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와 가야금산조에서 나타나는 악조로,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석화제는 조선 순조 때의 판소리 명창 김제철과 신만엽 등이 만들었다는 악조로, 나중에는 가야금병창에도 유입되었다. 중중모리장단의 평조 대목과도 그 특징이 흡사한데, 선율진행의 특징과 음악적 분위기 상 평조가 상대적으로 더 화평하고 유유하다면, 석화제는 밝고 경쾌하다.
석화제는 주요 구성음이 솔, 라, 도', 레', 미'의 5음으로 경토리와 주요 구성음이 같지만, 솔-도'-레'의 4도+2도 관계가 선율의 중심이 되면서 시김새는 육자배기토리처럼 ‘솔’에 요성, ‘도'’에 평성, ‘레'’에 퇴성이 나타나, 경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특징이 혼재되어있다. 이는 평조와 근본적으로 그 특징이 같아, 석화제가 평조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석화제로 된 대목은 수궁가 중 「소지노화」와「부엉이 허허 웃고」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