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가토리 (토리)

목차
국악
개념
서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대표적인 토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대표적인 토리.
개설

수심가토리는 황해도와 평안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토리로, 서도지역 특유의 음악적 감수성이 음구성과 시김새에 잘 반영되어있다.

내용

수심가토리는 주요 구성음이 레, 미, 솔, 라, 도'의 5음이며, 이 중 레-라-도'의 5도+3도 관계가 선율진행의 중심을 이룬다. ‘도'’에는 퇴성(꺾는 목), ‘라’에는 선율의 중심이 되는 기능과 함께 서도 특유의 콧소리로 탈탈 떠는 요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요성은 “대동강 물을 마셔야 낼 수 있다”는 말이 있듯이 서도음악문화를 제대로 알 때 구사할 수 있는데, 현재는 분단이라는 상황 아래 그 맛을 내는 창자들이 현격히 줄고 있다.

그리고 전형적인 수심가토리의 경우에는 서도민요 「수심가」처럼 ‘솔’(경토리의 주요음 도')이 생략되기도 하며, 대개 ‘라’ 또는 ‘레’로 종지한다. 수심가토리로 된 대표적인 서도민요에는 「수심가」를 비롯하여 「엮음수심가」, 「긴염불」, 「자진염불」,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 등이 있다.

참고문헌

「서도 통속민요 「긴염불」 연구」(손인애,『한국민요학』31, 2011)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