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소리

목차
관련 정보
줄타기 중 줄소리 장면
줄타기 중 줄소리 장면
국악
개념
줄광대가 공중에 맨 외줄 위에서 재담하며 부르던 소리.
목차
정의
줄광대가 공중에 맨 외줄 위에서 재담하며 부르던 소리.
개설

전통시대 줄광대들이 공중에 맨 외줄 위에서 재담하며 부르던 소리이다. 현재 10대목이 전승되고 있다.

내용

조선시대에는 줄놀이 광대로 크게 지배계층을 향유층으로 한 줄광대와 민중들을 대상으로 한 어름산이가 있었다. 이들 광대는 줄타기를 할 때 단순히 줄만 타는 것이 아니라, 재담과 노래까지 곁들여 줄판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었다. 재담의 소재는 주로 파계승과 타락한 양반의 풍자, 그리고 여러 계층 사람들의 걸음걸이나 앉는 모습 등을 흉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재담 사이에 부르는 줄소리, 일명 줄타기노래로 〈중타령〉, 〈왈짜타령〉, 〈중근본타령〉, 〈절이름타령〉, 〈팔선녀타령〉, 〈신세타령〉, 〈장삼을 벗는다〉, 〈새타령〉 등이 있으며, 반주는 북이나 장고가 맡는다.줄소리는 판소리와 같은 창우집단에서 비롯되어 아니리와 소리, 발림으로 구성되고, 붙임새와 악조가 다양하며 판소리와 그 특징이 유사하다. 현재 남아있는 자료인 김봉업, 이동안 연희본을 보면, 같은 줄거리의 노래도 줄소리가 연행되는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내용이 축약되거나 소리를 아니리로 대체하며, 구성에 유동성이 있다.

줄타기가 197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2011년 11월 28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며, 줄소리도 함께 보존, 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줄타기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118(김천흥‧정화영, 문화재관리국, 1975)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 양상」(이호승, 고려대 박사논문, 2007)
「광대줄타기 연희본」(심우성,『창작과 비평』33, 1974)
「줄타기민요」(박순호,『한국민속학』7, 1974)
「창우집단의 광대소리연구-육자배기토리권의 창우집단을 중심으로-」(이보형, 『한국전통음악논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2004)
김봉업 창 줄소리 연구: '중타령'·'새타령'을 중심으로(김혜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손인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