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정 필 산승보납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현재 심사정이 그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심사정 필 산승보납도(沈師正 筆 山僧補衲圖)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인물화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2년 05월 17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현재 심사정이 그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구성 및 형식

단폭의 도석인물화로서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36.5㎝, 가로 27.1㎝이다. 2012년 5월 17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부산광역시 시립박물관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의「산승보납도(山僧補衲圖)」에는 승려 한 사람이 계곡 옆에 우뚝 솟은 커다란 소나무 밑둥에 걸터앉아 가사를 꿰매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바느질에 집중하고 있는 승려의 앞쪽에는 긴 실을 늘어뜨린 채 장난 치고 있는 원숭이 한 마리가 자리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심사정이 17세기 초 명나라에서 편찬된 『고씨화보(顧氏畵譜)』에 실려 있는 중국 화가 강은(姜隱)의 「보납도(補衲圖)」를 본뜬 것이다.

심사정은 승려 뒤편에 강은의 작품에는 없는 암벽을 추가하고 계류와 소나무, 승려, 원숭이 등 주요 경물(景物)을 재배치하여 화면 구성에 변화를 주었다. 또 심사정 특유의 힘찬 필치로 소나무를 묘사하고, 계곡 주변의 바위는 갈색 담채(淡彩)와 태점(苔點)으로 그 느낌을 살렸다. 산수 표현이 비교적 거칠고 대담한 데 비해 승려와 원숭이는 가는 필선으로 처리하여 대비시킴으로써 강은의 「보납도」를 심사정 나름의 화법으로 재해석했음을 알 수 있다.

심사정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문인 화가로 산수 · 인물 · 화조 등 다양한 화제(畵題)에 능하였다. 또 중국에서 유입된 명 · 청대 화보를 참조하면서 화기(畵技)를 닦았고, 남종화법(南宗畵法)과 북종화법(北宗畵法)을 고루 소화하여 마침내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에 도달한 화가로 평가된다. 이 「산승보납도」는 산수화뿐만 아니라 인물화에도 능했던 심사정의 기량을 엿보게 해주는 작품이다. 화면의 우측 상부에 그와 친교를 나누었던 표암(豹菴)강세황(姜世晃)의 화평(畵評)이 곁들여져 있다.

의의와 평가

「산승보납도」는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심사정의 작품으로서 비록 방작(倣作)이긴 하지만, 개성이 넘치는 심사정의 화풍으로 재해석된 사례이다. 또 강세황의 화평까지 더해진 작품이어서 심사정과 도석인물화 연구는 물론 조선 후기 회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부산의 문화재』(부산광역시, 2013)
『현재 심사정 연구』(이예성, 일지사, 2000)
국가유산청(www.khs.go.kr)
부산광역시 문화관광(tour.busan.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