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공업 ()

목차
경제
제도
미국 원조물자인 밀가루, 설탕, 면화 등에 의존한 1950년대 대표적인 소비재 공업.
목차
정의
미국 원조물자인 밀가루, 설탕, 면화 등에 의존한 1950년대 대표적인 소비재 공업.
내용

1950년대 한국 경제는 미국의 원조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자본을 축적하였다. 재정, 금융, 산업에서 원조물자의 배분과 판매, 그리고 그 판매대금인 대충자금을 근간으로 한 재정투자와 기업에 대한 금융혜택이 한국 경제를 움직였다. 당시 시중환율보다 훨씬 낮은 공정환율로 원조물자를 배당받은 것만으로도 엄청난 이득을 볼 수 있었으므로 정경유착이 체질화되었고 이 과정에서 불법적인 정치자금과 뇌물 헌납 등이 문제가 되었다.

당시 한국 정부는 시설재와 원자재 등을 미국에 의존해야 하는 몇 가지 공업분야를 집중 육성했다. 그것은 면방직, 설탕업, 밀가루제조업, 즉 삼백공업이었다. 값싼 원조물자를 독점으로 배정받아 가공 판매할 수 있었던 소수의 자본가들은 순식간에 시장을 독점하고 재벌로 등장하였다. 1950년대 공업화의 주력산업이었던 삼백산업의 원료는 값싼 잉여농산물로 충당되어 국내의 밀, 면화 생산을 도태시켰고, 특히 1956년부터 들어온 PL 480호에 따른 미국의 잉여농산물 도입으로 한국 농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미국의 원조물자에 의존하던 1950년대 한국경제는 1957년 미국이 무상원조를 급격히 줄이는 대신 유상원조로 바꾸면서 그 폐해가 나타났는데, 1957년 이후 삼백공업을 중심으로 한 한국 경제는 극심한 불황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한국근현대사를 읽는다』(박찬승 편, 경인문화사, 2010)
「재생산구조의 외연적 심화과정」(이대근『사회과학』20, 1983)
집필자
이현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