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미문화원 점거사건 (서울 )

목차
현대사
사건
1985년 5월 23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지역 5개 대학의 학생 73명이 서울 미문화원을 기습적으로 점거하고 미국 정부를 규탄하며 농성한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85년 5월 23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지역 5개 대학의 학생 73명이 서울 미문화원을 기습적으로 점거하고 미국 정부를 규탄하며 농성한 사건.
내용

1985년 4월 17일 고려대에서 전국학생총연합(전학련, 의장 김민석 서울대총학생회장)을 결성하고, 그 산하에 전위적 투쟁조직인 민족통일민주쟁취민중해방투쟁위원회(삼민투위)를 각 대학에 조직했다. 삼민투위(위원장 허인회 고려대총학생회장)는, 5월 중 광주항쟁 계승기간에 광주 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폭로하고 규탄하기 위해 서울 미문화원을 점거할 계획을 세우고 5월 23일에 기습적으로 미문화원을 점거, 농성을 시작했다.

이들은 서울 미문화원 도서관에서 “광주 학살 책임지고 미국은 공개 사죄하라” 등의 구호가 적힌 대자보를 창문에 붙이고, 주한 미대사 면담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벌이다가 5월 26일 자진해서 농성을 해산하고 연행되었다. 이 사건으로 서울대 삼민투위원장 함운경 등 20명이 구속되었다. 피고인들은 재판 과정에서도 재판거부, 묵비권 행사, 변호인단 전원 사임 등 소위 ‘재판 투쟁’을 전개해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리처드 워커 주한 미대사는 “광주 사태에 미국의 책임이 없다”고 해명했다.

서울미문화원점거사건 이후 경찰은 1984년 학원자율화조치 이후 학내 경찰 투입 않는다는 방침을 어기고 6월 29일 새벽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9개 대학에 경찰병력을 투입해 삼민투위 관련자 66명을 연행해 삼민투위는 실질적으로 해체되었다. 이 사건은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과 마찬가지로 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미국의 정치적 책임을 공론화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과는 달리 평화적인 방법을 사용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80년대 학생운동사』(강신철 외, 형성사, 1988)
「미문화원 점거농성 사건」(『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56, 2002)
집필자
김정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