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수와 만수

연극
작품
미군 기지촌 출신인 칠수와 농촌에서 상경한 만수의 고달픈 삶에 대한 내용으로 극단 연우무대가 공연한 오종우 작, 이상우 연출의 작품.
정의
미군 기지촌 출신인 칠수와 농촌에서 상경한 만수의 고달픈 삶에 대한 내용으로 극단 연우무대가 공연한 오종우 작, 이상우 연출의 작품.
구성 및 형식

짧은 삽화형식(에피소드)으로 수많은 장면이 빠르게 진행된다. 간판회사 사장이 나와서 관객에게 직접 이야기를 함으로써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장면에 이어, 만수 의 시골 어머니의 처량한 모습, 또 그 뒤를 이어 15층에서 페인트 작업을 하는 만수와 칠수의 장면 등으로 연결된다.

내용

칠수와 만수는 빌딩에 매달린 곤도라(공중무대) 위에서 거대한 상업용 선전간판의 제작에 열중하고 있다. 별다른 일거리를 찾지 못한 그들은 페인트공으로 매일 11시간의 작업을 강행한다. 그들이 그리는 광고는 맥주 맛을 돋우기 위한 여자의 나체 그림이다. 주변의 바닥무대는 여러 장소로 활용된다. 관객들이 바라보는 정면 허공을 향해 두 청년은 페인트 붓과 롤러를 움직이며 그들의 과거, 현실, 젊음의 꿈을 그려낸다. 노동판의 고달픔 가운데서 가정에 대한 그리움, 여성에 대한 사랑, 젊음의 자유로운 생활설계, 일확천금의 공상 등을 그려나가는 것이다.

석양을 바라보며 잠시 휴식시간을 가지려는 그들의 행동은 경찰당국과 언론기관에 의해 ‘투쟁을 목적으로 한 노동자들의 자살극’으로 오해되고, 궁지에 몰린 두 청년은 끝내 투신하고 만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대대적인 흥행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극중 대사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일반적으로 “사회 풍자적 또는 사회 비판적 요소가 강한 공연에서의 대사는 그 주된 특징이 욕지거리나 성적인 야유로서 특히 여성의 육체에 대한 직접적·간접적인 야유와 희롱이 허다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실험적 공연이라고 해도 근본적으로 예술이 가져야만 하는 현실과의 미적인 거리감이 한 본질임을 감안할 때 사회 풍자적 혹은 비판적 대화가 곧 욕설이나 음담패설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체제저항, 투쟁선동, 군사독재시대의 상황을 역설적으로 풍자한 작품으로 소외된 사람들의 주변을 생생하게 표현하면서 긴박감 있게 전개되는 장면들이 신선했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동아연극상 연출상, 백상예술대상 작품상과 연출상을 수상했다.

참고문헌

『한국연극사: 현대편』(서연호, 도서출판 월인, 2005)
「즉흥연기와 실험적 테크닉」(심정순, 『한국연극』 1986. 6)
집필자
김정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