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표고 200∼700m의 바닷가 산지에 분포하는 난대 수종이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과 아시아 동부 열대 및 아열대이다. 학명은 Castanopsis cuspidata (Thunb.) Schottky이다. 1984년 11월 19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이 보호되고 있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달걀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4∼10㎝, 너비는 2∼5㎝이다. 잎의 뒷면은 미세한 연한 털로 되어 있는데, 털에 흰빛이 돌지만 대부분은 담갈색이다. 잎자루는 길이가 1㎝이다.
꽃은 암수한몸 단성화(單性花)로 6월에 핀다. 수꽃꽃차례는 새 가지의 밑 부분에서 나오며, 암꽃꽃차례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수꽃은 5∼6개로 갈라진 화피 조각과 10∼12개의 수술이 있으며, 황색으로 향기가 강한 충매화(蟲媒花)이다.
암꽃은 6개의 화피 조각이 있고 3개의 화주가 있다. 열매는 둥글고 달걀형이다. 총포는 포린 끝이 불규칙하게 곧추서며 횡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다음해 10월경에 익는다. 익은 종자에서 2∼3열의 견과(nut)가 나오는데, 둥근 달걀형으로 적갈색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큰 가지가 발달한다. 수피는 흑회색으로 세로로 갈라진다. 모밀잣밤나무와 비슷한 구실잣밤나무는 잎 뒷면이 갈색이고 잎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있으며 나무껍질이 갈라지는 점이 다르다.
열매는 도토리처럼 먹기도 하지만 목재를 주로 사용한다. 목재의 재질은 구실잣밤나무보다 떨어지지만 건축재, 농기구재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각종 도시개발에 따라 정원수, 공원수 등으로 식재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주로 표고버섯 재배를 위한 원목으로 사용된다. 비진도와 욕지도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모밀잣밤나무림의 종 조성과 군락구조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