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천은사 삼장탱화
구례 천은사 삼장탱화
회화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봉안된 조선 후기의 삼장보살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6년 02월 22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구례군 노고단로 209 (광의면, 천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봉안된 조선 후기의 삼장보살도.
개설

201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모시 바탕에 채색. 세로 187㎝, 가로 395.5㎝. 1776년 천은사에서 조성하여 대법당(大法堂)에 봉안한 삼장보살도로서, 신암 화련(信庵 華連), 내숙(來淑), 민휘(敏徽) 등을 비롯하여 14명의 화원들이 제작하였다. 상단에 천장보살(天藏菩薩)을 중심으로 지장보살(地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과 권속들을, 하단에는 각 보살의 권속들을 2열로 배치하였다. 천은사 극락보전의 향우측 벽에 봉안되어 있다.

내용

상단 중앙에는 천장보살이 권속들에 둘러싸여 앉아있는데, 천장보살은 연화대좌 위에 이중륜광의 광배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설법인(說法印)을 취하고 있다. 천장보살 아래로 왼쪽에는 진주보살(眞珠菩薩)과 대진주보살(大眞珠菩薩)이 협시하고 있고 그 좌우로 일월이 표시된 면류관을 쓴 일월천중(日月天衆)과 그 밖의 권속들이 3열로 늘어서 있다. 천장보살의 주위로도 여러 권속들이 에워싸고 있는데, 이들은 아마도 화기에 묘사된 것처럼 사공천중(四空天衆), 십팔천중(十八天衆), 육욕천중(六欲天衆), 제성군중(諸星君衆), 오통선중(五通仙衆) 등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왼쪽의 지장보살 역시 이중륜광 광배를 지고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다. 승려 머리에 투명한 흑갑사의 두건을 어깨 아래까지 넓게 쓰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보주를 들고 왼손은 가슴 앞에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지장보살의 주위로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상비보살(常悲菩薩), 용수보살(龍樹菩薩), 다라니보살(陀羅尼菩薩), 금강장보살(金剛藏菩薩),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의 6보살이 둥글게 에워싸고 있으나 백의(白衣)에 정병을 든 관음보살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특징이 없어 구분할 수 없다. 지장보살의 연화대좌 아래에는 왼쪽에 도명존자, 오른쪽에 무독귀왕이 협시하고 있고 그 아래에는 제1진광대왕(第一秦廣大王), 초강대왕(楚江大王), 송제대왕(宋帝大王, 오관대왕(五官大王), 염라대왕(閻羅大王), 변성대왕(變成大王), 태산대왕(泰山大王), 평등대왕(平等大王), 도시대왕(都市大王), 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 태산부군(太山府君) 등 시왕과 판관(判官), 귀왕(鬼王), 장군(將軍), 동자(童子), 감재(監齋), 직부(直符) 등이 협시하고 있다.

지지보살은 왼손에 경책(經冊)을 들고 오른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연화대좌 위에 앉아있다. 지지보살 아래에 합장한 용수보살(龍樹菩薩)과 다라니보살(陀羅尼菩薩)이 협시하고 있으며, 그 주위로 합장 또는 각종의 무기를 든 신중들이 지지보살을 에워싸고 있다. 이들은 화기에 적혀 있듯이 제견뢰신중(諸堅牢神衆), 제금강신중(諸金剛神衆), 제팔부신중(諸八部神衆), 제용왕신중(諸龍王神衆), 제아수라중(諸阿修羅衆), 대야차중(大藥叉衆), 나찰바중(羅刹婆衆), 귀자모중(鬼子母衆), 대하왕중(大河王衆)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주조색은 적색, 녹색, 홍색, 황색을 주로 썼으며 거기에 갈색, 양녹색, 주홍색을 간간히 썼으며 권속들의 옷에 몰골법의 사용도 보인다.

의의와 평가

중앙에 천장보살과 그 권속을 그린 천장회상(天藏會上), 향우측에 지지보살과 그 권속들을 그린 지지회상(持地會上), 향좌측에 지장보살과 그 권속을 그린 지장회상(地藏會上)으로 구성된 삼장보살도이다. 특히 하단에는 불화의 조성 시기와 시주자, 화원을 비롯하여 삼장보살의 권속 등을 기록한 화기가 남아있어 조선 후기 삼장보살도의 도상 연구에 중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삼장탱화 연구』(탁현규, 신구문화사, 2011)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18세기 삼장탱 도상과 양식 연구」(탁현규, 『미술사학보』23, 미술사학연구회, 2004)
「삼장탱화에 대하여」(홍윤식, 『현대사학의 제문제: 남계조좌호박사화갑기념논총』, 일조각,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