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기고 ()

조선시대사
문헌
1840년부터 1869년까지 이윤선이 관직 생활을 하면서 견문한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한 일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40년부터 1869년까지 이윤선이 관직 생활을 하면서 견문한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한 일기.
개설

이윤선(李潤善, 1826-?)이 1840년(헌종 6)부터 1869년(고종 6)까지 30여 년 간 쓴 일기를 그의 아들 이진영이 모아서 편찬한 책이다. 저자는 서리 이기혁(李基赫)의 아들로서, 1844년에 호조 봉상색(戶曹捧上色)에 기용된 이래 1869년까지 호조 서리로 재직하였다. 또 철종대에 우의정을 역임한 박영원(朴永元, 1791∼1854)의 겸인(傔人: 양반이나 부호의 집에서 잡무를 맡아 보던 사람)으로 활동하면서 정치권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부친 이기혁은 1862년에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의 품계를 가자(加資: 근무 성적, 공로, 왕명 등에 근거하여 관품(官品)을 올려 주거나 수여하는 승진제도)받았다.

편찬/발간 경위

이윤선의 아들 이진영이 부친의 일기를 정리하여 1880년(고종 17)에 편찬하였다.

서지적 사항

4권 4책, 필사본, 책 크기 세로 35㎝, 가로 22㎝이다.

내용

권1은 1840년부터 1851년(철종 2)까지, 권2는 1852년부터 1861년(철종 12)까지, 권3은 1862년부터 1865년(고종 2)까지, 권4는 1866년부터 1869년 9월 28일까지의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일기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저자의 개인사 및 가정사에 관한 내용이다. 여기에는 이윤선의 개인적 이력, 집안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일들, 부친 이기혁의 활동, 일가의 사람들이 서리직으로 진출하여 직무를 수행한 일, 주공대감가(主公大監家) 및 여러 세도가들과의 관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본서 중에는 이윤선이 일상적으로 접촉했던 친족들이나 주인과 겸임[主傔] 관계를 맺고 섬겼던 주공가(主公家)의 인물들과 관련된 내용, 부친 이기혁의 서리 활동과 관계되는 사항 등의 상당수가 삭제되어 있다. 이는 아마도 자신들의 집안이 서리 가문이라는 것이 밝혀지기를 꺼려했던 후손들이 의도적으로 내용을 삭제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는 그가 호조 서리 등으로 근무하면서 접했던 국정(國政) 동향과 관련된 내용이다. 의정부와 육조, 승정원(承政院) 및 여러 군영(軍營) 등에서 시행된 인사(人事) 행정, 과거 시행 상황과 급제자의 명단, 사신(使臣)의 연행(燕行) 관계 등에 관한 내용들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특히, 1862~1869년의 일기인 권3과 권4에는 임술민란(壬戌民亂)의 진행 상황과 그에 대한 정부의 대처, 고종 즉위와 함께 익종[翼宗: 조선 후기의 추존왕인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비(妃)인 신정왕후(神貞王后)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한 사실, 천주교도의 처형 사실, 이양선(異樣船)의 출몰 및 서양세력의 침투에 민심의 동요와 정부의 수습 과정 등이 서술되어 있다. 또, 대원군(大院君) 집정기의 원납전(願納錢: 경복궁 중수를 위해서 거두어들인 기부금) 징수와 주전(鑄錢) 등 재정 운용에 관한 사항들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호조 서리였던 이윤선과 직무상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안이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19세기 서리의 생활방식에 대한 정보를 줄 뿐 아니라, 당시 정치 상황 및 사회 경제적 변동을 이해하는 데에도 많은 참고가 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유봉학, 신구문화사, 1998)
「일록 『공사기고』에 나타난 19세기 서리의 생활상」(유봉학, 『규장각』13, 1990)
집필자
강문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