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제는 사망 후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기일인 소상과 대상에 행하는 제례이다. 초상부터 소상까지는 13개월이며, 대상까지는 25개월로 윤달은 계산하지 않는다. 소상 때에는 연복(練服)을 입고 대상 때에는 담복(?服)을 입는다. 제사는 제수 진설, 출주(出主), 진곡(盡哭), 개복(改服), 곡, 강신, 진찬, 초헌, 독축, 곡·재배, 아헌, 종헌, 유식(侑食), 합문, 계문, 진다(進茶), 이성(利成), 사신(辭神)의 순서로 지낸다. 대상 전날에 사대봉사(四代奉祀)의 신주를 고쳐 쓰고 신주를 차례로 교체하고 새 신주를 들였다.
상제는 소상과 대상 때에 지내는 제사로, ‘상(祥)은 길(吉)한 것’이라 하였으니, 길제에 속한다. 초상부터 소상까지는 13개월이며, 대상까지는 25개월이다. 복식은 각각 연복과 담복을 입으며, 제사 절차는 곡(哭)과 개복(改服) 외에 대체로 일반 제사와 같다. 상제 때의 특징은 신주를 고쳐 쓴다는 사실인데, 가례(家禮)에서는 대상 때 하지만 국상에서는 연제 때 행한다.
상제는 상례(喪禮)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기신에 드리는 제사인 소상과 대상을 가리킨다. 소상은 초상부터 이날까지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13개월이다. 이때 입는 복식이 연복(練服)이다. 남자들은 관을 쓰고 수질(首絰)과 부판(負版), 벽령(辟領), 최(衰)를 벗는다. 부인들은 긴 치마를 절단하여 땅에 끌리지 않도록 한다. 기년복을 입는 사람들은 길복으로 바꾸어 입는다. 그러나 그 달이 다했어도 금, 구슬, 비단, 수놓은 옷, 울긋불긋한 옷은 입지 않는다.
제사 절차는 제수 진설, 출주(出主), 진곡(盡哭), 개복(改服), 곡, 강신, 진찬, 초헌, 독축, 곡 · 재배, 아헌, 종헌, 유식(侑食), 합문, 계문, 진다(進茶), 이성(利成), 사신(辭神)의 순서이다. 이때부터는 조석곡을 그치며, 비로소 채소와 과일을 먹는다.
대상은 ‘크게 길한 날’이라는 뜻으로, 초상부터 이날까지 윤달을 계산하지 않으면 모두 25개월이다. 이날 입는 옷은 담복(禫服)이다. 담복은 검은색을 날실로 하고 흰색을 씨실로 한 고운 베〔섬(纖)〕로 만든 옷이다.
대상 전날에는 매우 중요한 의절을 행하였다. 그것은 천하의 통법인 사대봉사(四代奉祀)의 대상을 바꾸는 절차이다. 조상의 대수에 의거하여 신주를 고쳐 쓰고서 체천시키며 새 신주를 들이는 일이다. 이를 하기 위해 먼저 사당에 그 사실을 고유한다. 술과 과일을 차려놓고 초하루의 의식처럼 한다. 신주를 고쳐 쓰고 나서, 조상의 신주를 차례로 교체하여 서쪽으로 옮겨 가고, 동쪽의 감실 하나를 비워 새 신주를 기다린다.
대상의 제사는 소상의 의절대로 지낸다. 축문에서 희생은 돼지고기를 사용하면 ‘강렵(剛鬣)’이라 하고 희생을 사용하지 않으면 ‘청작서수(淸酌庶羞)’라고 한다. 제사를 마치면, 축이 신주를 받들고 사당으로 들어가 동쪽의 빈 감실에 봉안하고, 영좌를 거둔다. 상장(喪杖)은 이 이후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러뜨려서 구석진 곳에 버린다. 친진된 신주는 받들어서 묘소로 옮겨 그 옆에 묻는다. 비로소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으며 침실로 돌아간다.
국상에서의 상제도 가례와 같다. 다만, 첫 기일의 제사는 연제라 칭하고 두 번째 기일의 제사를 상제라 하였다. 연제를 맞으면, 우주(虞主)는 운명을 다하게 된다. 이때 다시 쓴 신주를 연주(練主)라 한다. 국왕의 혼령은 우주에서 연주로 옮겨 깃들게 되는 것이다. 이 연주를 영좌에 안치하고, 국왕은 연복으로 갈아입고서 제사를 드린다. 연복은 연포(練布)로 만든 갓인 연관을 쓰고 수질과 부판, 벽령, 최복을 제거한다.
제사를 마치면, 우주는 요여(腰輿)에 싣고 종묘(宗廟)로 가서 연주를 봉안할 정전의 신실 바로 뒤편에 있는 북계(北階)에 묻었다. 상제에서 국왕의 복식은 담복이다. 담복은 참포(黲袍)와 익선관(翼善冠), 오서대(烏犀帶), 백피화(白皮靴)이다.
새 신주를 사당에 들이는 절차는 가례에서는 대상 때에 행하며, 국상에서는 담제 후의 부묘 때 행하여 시기상의 차이를 보이는데, 실질적인 부묘의 의미와 슬픔이 점점 줄어들어 길례로 나아가는 과정상의 상호 관계를 잘 새겨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