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자증 ()

목차
관련 정보
진도자증
진도자증
천주교
문헌
중국에서 활동한 프랑스 출신 예수회 선교사 샤바냑(Emericus de Chavagnac)이 한문으로 저술한 교리서. 한문서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에서 활동한 프랑스 출신 예수회 선교사 샤바냑(Emericus de Chavagnac)이 한문으로 저술한 교리서. 한문서학서.
내용

‘참된 도리[眞道]는 저절로 입증된다[自證]’는 뜻을 지닌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중국인들에게 생소한 천주교의 교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논리적으로 입증하려는 의지가 배어있는 책이다. 천주의 존재, 강생구속(降生救贖), 삼위일체(三位一體), 상선벌악(償善罰惡) 등 천주교의 4대 교리를 비롯하여, 구세사,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종말론(終末論) 및 신앙생활 등 천주교의 모든 가르침을 망라하여 정리하였는데, 주로 지식인들에게 읽혀졌다. 저자 샤바냑 신부가 1717년에 선종하자 동료 선교사인 에르비외(J. P. Hervieu, 赫蒼壁, 16711746)가 교정을 보고 「정진도자증(訂眞道自證)」을 작성하여 본서에 첨가한 후 1718년 북경에서 4권 2책으로 초간(初刊)되었다. 1796년 북경교구장 구베아(A. de Guvea, 湯士選, 17511808) 주교가 감준(監准)하여 중간되었고, 상해(上海) 토산만(土山灣)에서 1858년, 1868년(4권 2책, 15.3×26.4cm, 106장), 1887년(4권 1책, 11.9×18.4cm, 99장), 1917년, 1927년에 거듭 간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제1장 권수(卷首, 머리말), 제2장 성리(性理, 본성의 이치), 제3장 사도(事道, 도리를 섬김), 제4장 박의인거(駁疑引據, 증거를 끌어들여 의심을 물리침), 제5장 교(敎, 천주교의 가르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권수에서는 이 책을 쓴 목적과 전체 개요 외에, 예수회 에르비외 선교사가 쓴 「정진도자증」을 통하여 주요 내용에 대해 조목마다 중국선비와 토론하였다. 제2장 성리는 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조물자(造物者, 天主)의 항목을 통해 하느님의 전지(全知), 전능(全能), 전선(全善)하고 지공(至公), 인자한 속성을 설명하였고, 일함삼해(一含三解) 항목을 통해서 천주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삼위일체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어서 수조자(受造者, 피조물) 항목을 통해서 천지, 만물, 인간, 천사 등의 존재와 상선벌악의 도리 등에 대해 설명했다. 제3장 사도는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신분사정(神分邪正) 항목에서 천사들이 선한 천사와 악한 마귀로 나누어진 연유를 설명하였고, 인류(人類) 상, 하(上, 下)의 항목을 통해서 인간의 창조, 원조의 범죄, 세상의 타락, 구세주의 등장, 성교(聖敎)의 봉행(奉行), 예수의 강생, 공생활, 십자가 수난, 부활, 승천 등 구세주 일대기를 통한 가르침과 권고 등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어서 구세사(救世事) 항목을, 참된 주인을 알고 원죄를 깨달으며 재조(再造, 구세주 예수)를 섬기는 3가지로 요약했다. 제4장 박의인거는 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예수가 비천하고 가난하게 출생하여 죄를 지은 인간을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대속(代贖)한 사실이 합당하며, 하느님은 모든 덕(德)을 골고루 갖추고 계시다는 점, 천주교가 참된 도리임을 증명하는 내용 등이 서술되어 있다. 제5장은 5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첫 항목[敎之經綸]을 통해서 천주 앞에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상하귀천(上下貴賤)이 없음을 설명하고, 성모님과 성인들의 덕행, 교회의 7가지 은총과 향주삼덕(向主三德: 信,望,愛), 십계(十戒), 사추덕(四樞德: 智, 義, 勇, 節), 진복팔단(眞福八端), 칠죄종(七罪宗: 교만, 질투, 인색, 분노, 식탐, 음란, 나태), 칠덕행(七德行=七克: 겸손, 사랑, 나눔, 인내, 절식, 정덕, 근면), 애긍(哀矜), 7성사(七聖事: 성세, 견진, 성체, 고해, 병자, 신품, 혼배), 사말(四末, 죽음, 심판, 천당, 지옥) 등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 책이 조선에 전래된 것은 1784년 전후로 여겨지며, 이승훈(李承薰)이 북경에서 갖고 와서 홍정하(洪正河), 안정복(安鼎福), 이기경(李基慶) 등이 읽고 비평을 남겼다. 또한 이승훈, 정약용(丁若鏞), 김건순(金健淳), 이합규(李鴿逵), 정인혁(鄭仁赫), 최필공(崔必恭), 홍익만(洪翼萬) 등이 열람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진도자증(眞道自證)』(샤바냑 저·유은희 역, 순교의 맥, 2013)
『한국가톨릭대사전』10(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교회사연구소, 200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원재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