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정 초상 및 함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 문신이며 수학자였던 최석정의 초상화와 보관용 목재 영정함.
작품/서화
창작 연도
18세기 초
작가
미상
소장처
국립청주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최석정 초상 및 함(崔錫鼎 肖像 및 函)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7년 05월 08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명암동, 국립청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석정 초상 및 함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수학자였던 최석정의 초상화와 보관용 목재 영정함이다. 초상화는 얼굴을 비롯한 세부 표현을 상세하게 묘사하여 전체적으로 정교함이 두드러진다. 17세기 공신 초상화에서 나타나던 어색한 신체 표현을 벗어나 좀더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하는 중요한 작품이다.

정의
조선 후기, 문신이며 수학자였던 최석정의 초상화와 보관용 목재 영정함.
제작 배경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석만(錫萬), 자는 여시(汝時) · 여화(汝和), 호는 존와(存窩) · 명곡(明谷)이다. 초상화의 정확한 제작 연대는 알 수는 없으나 최석정이 사망하기 전에 초본이 제작되었으므로 사망 전후인 18세기 초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내용

초상화는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두 손을 소매 속에 모아 잡은 채 교의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이다. 배경은 생략되었으며 바닥에는 아무것도 깔려 있지 않다. 교의에는 표범가죽이 덮여 있고, 두 발은 족좌 위에 놓았다. 쌍학흉배와 서대를 착용하고 있다. 초상과 더불어 목재 영정함, 유지초본 등이 함께 전하고 있다.

형태 및 특징

초상화는 비단 위에 채색을 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173㎝, 가로 90㎝이다. 보관 영정함의 크기는 가로 111㎝, 세로 18㎝, 높이 17.5㎝이다. 초상화는 얼굴을 비롯한 세부 표현을 상세하게 묘사하여 전체적으로 정교함이 두드러진다. 얼굴은 옅고 굵은 선으로 윤곽을 표현하고 가는 선으로 주름을 나타냈으며 명암으로 굴곡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왼쪽 눈 위에는 붉은 점 같은 것이 있고 왼쪽 뺨에도 검버섯 자국이 여러 개 있다. 인물의 생김새와 인상을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매우 노력한 것이 역력하다.

초록색 단령은 일정한 굵기의 먹선으로 윤곽선과 옷주름선을 간략하게 그렸으며 부분적으로 명암을 표현하였다. 단령의 구름문양은 의복의 굴곡과 상관없이 평면적으로 묘사했으며 트임 사이로는 청색 철릭과 안감이 드러난다. 흉배는 단정학과 오색구름을 세밀하게 그렸으며 일부 금니를 사용하였다. 교의에 덮인 호피는 터럭 하나하나까지 자세히 표현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전체적으로 17세기 공신도상에서 보이는 다소 경직된 신체 표현에서 벗어나 좀더 자연스러워지는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하는 18세기 초엽 초상화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선 후기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수학자로서 커다란 업적을 남긴 최석정이란 인물의 초상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2017년 5월 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새 보물 납시었네』(국립중앙박물관, 2020)
『보물 초상화』(문화재청, 20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