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해관 ()

목차
관련 정보
인문지리
지명
전통시대 한중 외교 사행로에 위치한 중국으로 진입하는 관문.
내용 요약

산해관은 전통시대 한중 외교 사행로에 위치한 중국으로 진입하는 관문이다. 만리장성의 동쪽 관문이자 기점으로 유관(?關, ?關)이라고도 한다. 조선의 외교사절이 중국의 수도인 연경(燕京)에 가기 위해서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자 북경의 안전을 담보로 하는 보루로 인식되었다. 중화와 오랑캐를 구분하는 만리장성을 경계로 안쪽을 관내(關內), 밖을 관외(關外)라고 불렀다. 중국의 제도와 문물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조선 지식인들은 이 관문에 들어서야 중화(中華)의 세계, 즉 문명의 세계로 들어선다고 생각하였다.

정의
전통시대 한중 외교 사행로에 위치한 중국으로 진입하는 관문.
내용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주1을 갖고 있었다. 즉 중화와 오랑캐를 구분하는 화이(華夷)의 기준을 주2으로 삼았다. 발해의 노룡두에서 시작되는 만리장성은 산해관 각산장성(角山長城)과 연산산맥을 넘어 서쪽 사막의 주3 주4까지 약 6,400㎞에 걸쳐 이어지는 거대한 인공 건축물이다.

문명(文明)과 비문명(非文明)으로 대체되는 화이를 가르는 기준이 만리장성이었던 만큼 산해관의 안쪽을 관내(關內), 밖을 관외(關外)라 불렀다. 이 관문을 들어서야 중화(中華)의 세계, 즉 문명의 세계로 들어선다는 관념을 갖고 있었다.

중국을 왕래했던 조선의 외교사절 역시 주5의 사행노정(使行路程)을 경유하여 중국의 수도인 연경(燕京, 지금의 북경)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산해관을 통과해야 했다.

조선의 사신들에게 산해관은 중국의 규모와 제도를 짐작할 수 있는 상징적인 건축물이었다. 특히 산해관의 관문 중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은 그 위용이 가장 웅장하였으며, 조선 지식인들의 관념 속에 자리 잡은 상징적인 경계(境界)이기도 했다.

1780년 사행에 참여했던 연암 박지원『열하일기(熱河日記)』 일신수필(馹汛隨筆) 산해관기(山海關記)에서 “만리장성을 보지 않고서는 중국의 큼을 모르고, 산해관을 보지 않고서는 중국의 제도를 알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산해관의 규모와 위용을 평가했다.

형성 및 변천

산해관은 본래 유관(榆關, 渝關)이라고도 하며, 한대에는 임유관(臨榆關)이라고 했으나 지금의 위치와는 차이가 있다. 임유관은 고구려가 수(隋)를 공략했던 임유관전투(臨榆關戰鬪)의 현장을 말한다. 산해관의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은 주6을 지키는 인후(咽喉)이자 북경의 안전을 담보하는 주7로 인식하였다.

1381년(홍무 14)에 장군 주8이 산해위(山海衛)를 세우고 관을 축성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에 산해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579년(만력 7)에 주9 장군이 관을 보수하면서 바닷속으로 7장(丈)의 석성(石城)을 증축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노룡두(老龍頭)이다.

명 말에 산해관 총병(摠兵) 주10가 농민 반란군 주11을 물리치기 위해 산해관의 성벽을 헐고 청군을 무혈입성시킴으로서 이민족인 만주족에게 중원(中原)을 넘겨주게 되었다. 곧 명은 멸망의 길로 들어서고, 청 제국이 열리게 되었다.

현황

산해관은 주12주13을 가르는 경계(境界)이며, 행정구역상 하북성 진황도시(秦皇島市)에 속한다. 북경에서 약 300㎞ 떨어져 있는데, 서쪽으로는 연산산맥(燕山山脈), 동쪽으로는 발해만(渤海灣)에 연한 군사요충지이다. 아울러 서역의 가욕관에서 요동 발해만에 이르는 만리장성의 동쪽 관문이자 기점(起點)이다.

산해관은 중국민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해변 휴양지의 하나이다. 인근의 북대하(北戴河)는 세계적인 해양 휴양 명소로 널리 소개되고 있다. 산해관에는 만리장성의 관문으로서 명대 장성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적이 잘 남아 있다.

산해관 천하제일관을 비롯한 동라성(東羅城)과 서라성(西羅城), 영해성(寧海城)의 장대(將臺)인 징해루(澄海樓), 노룡두, 해신묘(海神廟) 등이 고성(古城)의 면모를 잘 갖추고 있다. 산해관 외곽에는 각산장성과 맹강녀묘(孟姜女廟), 장수산(長壽山) 등의 명소가 있다.

참고문헌

『열하일기(熱河日記)』
『(신편) 국역 연행록선집』(민족문화추진회 역, 한국학술정보, 2008)
「연행문화와 연행노정」(신춘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山海關』(沈朝陽外, 山海關文物旅遊局, 農村瀆物出版社, 1991)
『歷史名城山海關』(吳洪林, 新華出版社, 1991)
주석
주1

중국 민족이 스스로를 중화(中華)라 하여 존중하고 주변 민족을 이적(夷狄)이라 하여 천시하던 사상. 우리말샘

주2

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우리말샘

주3

중국 서북부, 황허강(黃河江)의 상류에 있는 성(省). 예전에 비단길의 통로였기 때문에 둔황(敦煌) 따위의 유적이 많다. 밀, 옥수수, 대마, 담배, 목화와 석유, 석탄이 많이 나며, 위먼(玉門)의 석유는 특히 유명하다. 성도(省都)는 란저우(蘭州), 면적은 45만 ㎢. ⇒규범 표기는 ‘간쑤성’이다. 우리말샘

주4

중국 만리장성의 서쪽 끝에 있는 관문(關門). 서역과 연결되는 통상ㆍ군사 요충지로, 명나라 초기에 설치되었다. ⇒규범 표기는 ‘자위관’이다. 우리말샘

주5

중국 랴오허강(遼河江)의 동쪽 지방을 가리키는 말. 지금의 랴오닝성(遼寧省) 동남부 일대이며,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영유권을 놓고 한반도와 중국, 그리고 북방 민족 사이에 충돌이 발생해 왔다. ⇒규범 표기는 ‘랴오둥’이다. 우리말샘

주6

나라의 경계가 되는 변두리의 땅. 우리말샘

주7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돌이나 콘크리트 따위로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 우리말샘

주8

중국 명나라의 개국 공신(1332~1385). 자는 천덕(天德). 안휘성(安徽省) 출신이며 주원장의 부하로 통군 원수, 강남행 추밀원사, 좌상국 등의 벼슬을 지냈다. 주원장이 즉위하면서 무관(武官) 중 최고 위치에 올랐다. 우리말샘

주9

중국 명나라 때의 무장(1528~1587). 등주위(登州衛)의 지휘첨사(指揮僉事)가 되어 산둥 지역에서 왜구를 막았다. 후에 항왜(抗倭)의 주력 부대로 농민 등 수천 명을 조련하여 ‘척가군(戚家軍)’이라 불렸다. 만년에 좌도독(左都督)의 지위에 올랐으나 재상 장거정(張居正)이 죽으면서 탄핵을 받아 면직되었다. 병고에 시달리다 죽었다. 우리말샘

주10

중국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의 무장(1612~1678). 자는 장백(長白). 베이징(北京)을 점령한 이자성을 청군의 원조로 토벌하였으며, 뒤에 윈난(雲南) 지방을 근거지로 하여 삼번(三藩)의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우리말샘

주11

중국 명나라 말기 농민 반란의 지도자(1606~1645). 1631년 연수(延綏)의 기근을 기화로 봉기하여 반란군의 수령이 되었으며 시안(西安)을 점령하여 신순왕(新順王)이라 칭하고 대순국(大順國)을 세웠다. 1644년 명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오삼계 등이 이끄는 청나라 군사에 패하였다. 우리말샘

주12

중국 만주 동남부에 있는 성. 중앙부에는 랴오허강(遼河江)이 흐르고, 남쪽은 발해만(渤海灣), 황해에 닿아 있다. 석탄, 철 따위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중화학 공업이 발달하였다. 성도는 선양(瀋陽), 면적은 14만 7588㎢. 우리말샘

주13

중국 북부에 있는 성. 밭농사를 주로 하며, 보하이만(渤海灣) 기슭에서는 제염업이 활발하다. 광산물도 많으며, 베이징과 톈진(天津)은 이 성에 있는 중앙 직할시이다. 성도(省都)는 스자좡(石家莊), 면적은 20만 2700㎢. ⇒규범 표기는 ‘허베이성’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신춘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