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임호정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임호정리마을 주변 구릉지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집터와 수혈유구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이칭
이칭
양양 임호정리 청동기시대 및 조선시대 주거유적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임호정리마을 주변 구릉지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집터와 수혈유구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내용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화상천(和上川) 하류역 남쪽의 임호정리 주변 나지막한 구릉지에 분포하는 청동기시대 및 조선시대 주거[취락]유적이다. 2005년~2006년 유적이 위치한 구릉일대가 동해고속도로 주문진-속초간 건설구간 내에 편입됨에 따라 강원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B지구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5기와 수혈유구 2기, 그리고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1기가 확인되었으며, C지구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2기가 발견되었다.

양양 임호정리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 주거지들은 주로 구릉 정상부와 사면에 각각 축조되었고, 일부 중복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B-1호와 B-3호 주거지는 길이가 10m 이상, 면적이 75~90㎡ 에 달하는 대형주거지로 확인되었다. 평면형태는 대형주거지들이 장방형, 소형주거지들은 말각방형 또는 말각장방형을 보이고 있다. 주거지 내부에는 주혈, 벽구, 선반, 저장공, 노지, 배수구 등 여러 시설이 설치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크게 토기류와 석기류로 구분된다. 토기류는 심발형, 호형, 발형, 배형 등으로 홑아가리 또는 겹아가리가 있거나 혹은 구멍무늬가 있는 토기와 문양이 전혀 없는 무문토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석기류는 반월형석도, 석부, 석착, 석촉, 석창, 석검, 지석, 공이, 갈판과 갈돌, 방추차 등이 있다.

양양 임호정리유적은 영동지방 주거지유적과 비교해 볼 때, 크게 순수 이중구연토기와 단사선문이 시문된 강릉 교동 주거지 단계와 순수 공렬토기가 출토되는 강릉 방내리 주거지 단계와 비슷한 청동기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구릉 사면에 위치하며, 평면형태가 타원형으로 규모 5.5㎡ 정도이다. 내부에는 아궁이시설과 저장구덩이가 설치되었으나 주혈은 확인되지 않았다. 경기도 군포 부곡동유적과 충남 아산 명암리유적의 수혈주거지와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출토유물은 백자발 1점과 토기편 약간이 있다.

의의와 평가

양양 임호정리유적은 청동기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동해안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 뿐 아니라 주거건축의 다양한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유적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비록 단 1기만 조사되었지만 주변 구릉에 분포가능성을 알려주고 있으며, 강원지역의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연구에 단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양양 임호정리 유적: 동해고속도로(주문진~속초간) 건설구간내 유적』(강원문화재연구소, 2008)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박영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집필자
이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