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 학담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강원도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학담리 일대 충적대지에 있는 철기시대 집터에서 타날문토기 · 지석 등이 출토된 마을터. 취락유적.
이칭
이칭
횡성 학담리 철기시대 주거유적
목차
정의
강원도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학담리 일대 충적대지에 있는 철기시대 집터에서 타날문토기 · 지석 등이 출토된 마을터. 취락유적.
내용

강원도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학담리 금계천 유역의 충적대지에 분포하는 철기시대 취락[주거]유적이다. 이곳은 동쪽 가까이에 남한강 수계의 지류인 금계천이 흐르고 있고, 서북쪽으로는 얕은 구릉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동남향을 이루는 충적지대로서 선사시대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유적은 공근 문화마을 조성사업 지구에 대한 2003년 한림대학교 박물관의 지표조사와 2004년 시굴조사를 통해 알려졌다. 2005년 발굴조사를 통해 철기시대 주거지 3기와 미상유구 2기가 확인되었다.

철기시대 주거지 1호와 2호는 모두 화재로 폐기되었으며, 주거지 상부구조를 알 수 있는 탄화된 기둥을 비롯하여 벽체시설의 일부로 추정되는 판자재와 진흙이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모두 철자형(凸字形)이며, 주축방향은 북동-남서방향이다. 주생활공간의 평면 형태는 1호 주거지가 방형, 2호 주거지는 장방형에 가깝다. 주거지 면적은 1호가 약 71㎡, 2호는 약 89㎡로 비교적 대형급에 속한다. 주거지 내부에서는 진흙다짐한 바닥시설과 기둥구멍, 노지[화덕자리] 등이 확인되었다. 1호 주거지 노지는 폐기된 수혈식노지와 동쪽 벽을 따라 시설된 터널식노지 등 2기가, 2호에서는 점토띠식노지가 확인되었다. 3호 주거지는 파괴가 심하여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으나, 바닥에서 1호와 2호 주거지와 같이 진흙다짐한 흔적이 확인되었고, 서쪽 벽에서 수혈선이 나타나고 있어 동일한 철기시대 주거지로 추정된다. 미상유구 2기는 파괴가 심하고 또한 조사 경계지점과 맞닿아 있어 정확한 형태를 파악할 수 없었다.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경질무문토기 · 타날문토기 · 지석 등이 있다. 그러나 3호 주거지 퇴적토 제거 중에 청동기시대의 석촉 3점, 유구석부 1점, 석도 1점이 수습되어 철기시대가 주거지가 조성되기 이전에 조사지역 혹은 주변지역에 관련 유적이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횡성학담리유적은 주거지 및 출토유물 양상 그리고 목탄시료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 대체적으로 1세기에서 2세기 전반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횡성학담리유적은 화전리유적, 중금리유적, 둔내유적, 읍하리유적 등과 함께 횡성지역의 철기시대 취락 및 문화 양상과 변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는 점, 나아가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의 철기문화의 전파경로와 문화 확산 양상의 추적에 보탬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고고유적 중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횡성 학담리유적-공근 문화마을 조성사업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한림대학교 박물관, 2007)
집필자
이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