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출토 와명 ( )

목차
관련 정보
부소산성 출토 명문 와편
부소산성 출토 명문 와편
고대사
유물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에서 출토된 기와에 새겨진 문자자료.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에서 출토된 기와에 새겨진 문자자료.
개설

크게 인각와(印刻瓦)와 그 이외의 명문와(銘文瓦)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각와가 압도적으로 많다.

내용

인각와는 기와의 등면에 대체로 원형 또는 방형의 테두리 안에 1~6자의 문자나 기호가 있는 문자자료이다. 인각와의 경우 부여 지역의 다양한 유적에서 출토되었는데, 대략 8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8가지 유형에 맞추어 부여 지역에서 출토된 인각와와 그 이외의 명문와를 출토유적별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인각된 부분이 1개이고 평면이 원형이며 글자가 1자인 유형으로는 부소산성 출토의 '진(辰)'명, '병(丙)'명, '인(寅)'명, '사(士)'명, '부(阝)'명, '목(木)'명, '북(北)'명, '도(刀)'명, '칠(七)'명, '대(大)'명, '복(福)'명, '묘(卯)'명, 관북리 유적 출토의 '진'명, '인'명, '병'명, '사(斯)'명, '관(官)'명, '목'명, '월(月)'명, '부'명, '묘'명, 관북리 160번지 백제유적 출토의 '인'명, 쌍북리 유적 출토의 '인'명, '병'명, '사'명, '묘'명, 쌍북리 두시럭골 유적의 '인'명, 쌍북리 현내들-북포 유적 출토의 '진'명, '사'명, '관'명, '부'명, 쌍북리 602-10 유적 출토의 '진'명, '병'명, 구아리 백제유적 출토의 '진'명, 능산리사지 출토의 '사'명, '칠'명, 화지산 출토의 '□'명, '도'명, 정림사지 출토의 '□'명, 동남리 중앙로-백강로 연결도로부지 출토의 '목'명, 동남리 136-4번지 백제유적 출토의 '□'명, 동남리 백제생활유적 출토의 '인'명, '□'명, 가탑리 유적 출토의 '진'명, 가탑리 관음사지 출토의 '□'명, 가탑리 금성산 두시럭골 출토의 '□'명, 군수리사지 출토의 '진'명, '묘'명, 군수리 유적 출토의 '해(解)'명, '복'명, 석목리 출토의 '사(巳)'명, 규암리 54-4번지 출토의 '진'명, 왕흥사지 출토의 '목'명, 규암면 오수리 출토의 '묘'명, '□'명, 출토지 미상의 '묘'명, '인'명, '□'명, '진'명 등이 있다.

②인각된 부분이 1개이고 평면이 원형이며 글자가 2자인 유형으로는 부소산성 출토의 '기축(己丑)'명, '정사(丁巳)'명, '을사(乙巳)'명, '대통(大通)'명, '대야(大也)'명, '도하(刀下)'명, '본문(本文)'명, 관북리 유적 출토의 '기축'명, '정사'명, '기신(己申)'명, '도하'명, '목차(目次)'명, '본문'명, 쌍북리 유적 출토의 '도하'명, '본문'명, 청산성 출토의 '□축(□丑)'명, 구아리 백제유적 출토의 '정사'명, 능산리사지 출토의 '기축'명, 정림사지 출토의 '도하'명, '□□'명, 가탑리 금성산 두시럭골 출토의 '□축'명, 군수리사지 출토의 '정사'명, 가증리사지 출토의 '도하'명, 구교리 출토의 '기축'명, 규암리 54-4번지 출토의 '도하'명 등이 있다.

③인각된 부분이 1개이고 평면이 원형이며 글자가 4자인 유형으로는 부소산성 출토의 '하부갑와(下部甲瓦)'명, '전부갑와(前部甲瓦)'명, '신부갑와(申部甲瓦)'명, '우성갑와(右城甲瓦)'명, 관북리 유적 출토의 '상부갑와(上部甲瓦)'명, '상부을와(上部乙瓦)'명, '중부을와(中部乙瓦)'명, '하부을와(下部乙瓦)'명, '전부갑와'명, '전부을와(前部乙瓦)'명, '신부갑와'명, 쌍북리 유적 출토의 '중부을와'명, 청산성 출토의 '전부갑와'명, 능산리사지 출토의 '전부을와'명, 동남리 출토의 '상부을와'명, 동남리 향교 부근 전지 출토의 '좌부을와(左部乙瓦)'명, '전부갑와'명, '우부을와(右部乙瓦)'명, 후부을와(後部乙瓦)'명, 동남리사지 출토의 '신부갑와'명, 정림사지 출토의 '신부갑와'명, '후부을와'명, '전부을와'명, 궁남지 출토의 '후부갑와(後部甲瓦)'명, '전부을와'명, 가탑리 출토의 '관부갑와(官部甲瓦)'명, 가탑리사지 출토의 '상부을와'명, 가탑리 백제유적 출토의 '후부을와'명, 가탑리 관음사지 출토의 '후부□와(後部□瓦)'명, □부을와(□部乙瓦)'명, 정동리 샘골 출토의 '상부을와'명, 석목리 남건물지 출토의 '상부갑와'명, 출토지 미상의 '사하을와(寺下乙瓦)'명 등이 있다.

④인각된 부분이 1개이고 평면이 방형이며 글자가 1자인 유형으로는 부소산성 출토의 '공(功)'명, '하(下)'명, '견(犬)'명, '칠'명, 관북리 유적 출토의 '공'명, '칠'명 등이 있다.

⑤인각된 부분이 1개이고 평면이 방형이며 글자가 2자인 유형으로는 부소산성 출토의 '수부(首府)"명, 관북리 유적 출토의 '수부'명, 동남리 136-4번지 백제유적 출토의 '갑□(甲□)'명 등이 있다.

⑥인각된 부분이 1개이고 평면이 방형이며 글자가 4자인 유형으로는 출토지 미상의 '황산무진(黃山戊辰)'명 등이 있다.

⑦인각된 부분이 2개이고 평면이 원형이며 글자가 2자인 유형으로는 부소산성 출토의 '사(巳)-고(古)'명, '사-도(刀)'명, '사-모(毛)'명, '사-사(斯)'명, '사-조(助)'명, '사-지(止)'명, '오(午)-사'명, '오-조'명, '오-지'명, '신(申)-사'명, '신-시(市)'명, '미(未)-사'명, '기(己)-유(酉)'명, '과(戈)-사'명, 관북리 유적 출토의 '사-고'명, '사-도'명, '사-모'명, '사-조'명, '오-사'명, '오-조'명, '오-지'명, '신-사'명, '신-시'먕, '미-사'명, '과-지'명, '형(兄)-사'명, 관북리 160번지 백제유적 출토의 '□-도'명, '오-조'명, '오-사'명, '오-지'명, '과-지'명, 쌍북리 유적 출토의 '오-사'명, '오-조'명, '오-지'명, '과-사'명, '과-지'명, 구아리 백제유적 출토의 '사-조'명, 구아리 434번지 백제유적 출토의 '오-조'명, 능산리사지 출토의 '사-□'명, '□-조'명, '사-모'명, '형-□'명, 금성산 출토의 '기-추(酋)'명, '사-조'명, '사-□'명, 화지산 출토의 '□-□'명, 정림사지 출토의 '미-사'명, '오-조'명, '사-도'명, '□-추'명, '무(戊)-□'명, '□-사'명, 동남리 중앙로-백강로 연결도로부지 출토의 '□-□'명, 동남리 136-4번지 백제유적 출토의 '신-□'명, 동남리 백제생활유적 출토의 '기-조'명, '미-사'명, '□-□'명, 궁남지 출토의 '□-□'명, 가탑리 출토의 '갑(甲)-모'명, 가탑리 백제유적 출토의 '갑-모'명, '신-사'명, 가탑리 359-3번지 유적 출토의 '오-사'명, 가탑리 금성산 두시럭골 출토의 '갑-모'명, '갑-□'명, '무-사'명, '무-조'명, '무-□'명, '기-추'명, '기-조'명, '기-□'명, '신-포(布)'명, '오-지'명, '오-사'명, '오-조'명, '오-□'명, '□-지'명, '미-사'명, '미-□'명, '□-사'명, 사-□명, '□-모'명, '□-조'명, '□-□'명, 군수리 출토의 '□-부(部)'명, 군수리사지 출토의 '사-사'명, '오-사'명, '사-지'명, '사-조'명, '사-모'명, '사-□'명, '□-지'명, '□-조'명, '□-사'명, '□-□'명, 군수리 유적 출토의 '신-□'명, 정동리요지 출토의 '기-조'명, '□-모'명, '사-도'명, 가증리사지 출토의 '신-□'명, '□-□'명, 석목리 출토의 '미-사'명, 석목리 나성유적 출토의 '사-□'명, '신-사'명, '□-□'명, 구교리 출토의 '사-□'명, '사-지'명, '사-모'명, 규암면 출토의 '사-모'명, 왕흥사지 출토의 '사-모'명, 출토지 미상의 '미-사'명, '□-□'명 등이 있다.

⑧마지막으로 문자가 아닌 문양을 새긴 인각와는 부소산성 4점, 관북리 유적 3점, 능산리사지 2점, 쌍북리 102번지 유적 1점, 정림사지 1점, 정동리요지 1점, 출토지 미상 7점 등 총 19점이 출토되었는데, 원형의 도장에 음각으로 문양을 새겨 기와면에는 양각으로 나타났다.

인각와 이외 명문와로는 궁남지에서 출토된 '정(井)'명 기와 2점과 '입(卄)'명 기와 1점, 부소산성에서 출토된 '□출계□(□朮系□)'명 기와 및 '팔륙(八六)'명 기와,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왕흥(王興)'명 기와, '고(高)'명 기와, 왕흥사지 요지에서 출토된 '왕(王)'명 기와, 정암리 요지에서 출토된 '이백팔(二百八)'명 기와 등이 있다. 이 중 '왕흥'명 기와는 해당 유적이 『삼국사기』·『삼국유사』 등에 전하는 왕흥사(王興寺)의 옛 터임을 확인시켜 주었고, '왕'명 기와는 '주(主)'로 판독하기도 한다.

특징

인각와의 경우 같은 글자를 새긴 기와가 여러 점 출토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가장 많이 출토된 관북리 유적 '진'명 인각와의 경우 총 26점이나 출토되었다.

현황

인각와와 그 이외 명문와의 경우 최근 출토된 유적이 너무나 많아서 유적 단위로 설명하기보다는 지역 단위로 묶어서 설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인각와의 지역별 출토 점수는 다음과 같다. 다만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큰 유적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유적 단위로 계산하였다.

관북리 일대 276점, 부소산성 269점, 가탑리 일대 40점 이상, 군수리 일대 37점, 쌍북리 일대 33점, 규암면 일대 19점, 동남리 일대 17점, 정림사지 15점 이상, 가증리사지 14점, 능산리사지 12점, 구아리 일대 8점, 석목리 일대 8점, 정동리 일대 5점, 구교리 일대 4점, 금성산 4점, 화지산 4점, 궁남지 3점 이상, 청산성 3점, 왕흥사지 2점, 출토지 미상 22점 등이 있다.

인각와 이외 명문와의 출토 점수는 다음과 같다. 궁남지 3점, 왕흥사지 일대 3점, 부소산성 2점, 정암리 일대 1점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대 문자자료 연구 백제(상)-지역별』(권인한·김경호·윤선태 공동편집, 주류성, 2015)
『한국고대 문자자료 연구 백제(하)-주제별』(권인한·김경호·윤선태 공동편집, 주류성, 2015)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