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타 ()

불교
개념
지(止)라는 뜻으로, 외부 대상에 대해 감각기관을 다스려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고요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지(止) · 적정(寂靜).
이칭
이칭
지(止), 적정(寂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마타는 외부 대상에 대해 감각기관을 다스려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고요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止), 적정(寂靜)이라고도 하며 선정(禪定)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용어이다. 사마타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탐욕과 번뇌 등의 작용을 그치게 함으로써 마음의 평온을 얻는 명상법이다. 사마타 명상법에서는 마음속에 탐욕과 번뇌가 있으면 대상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먼저 탐욕과 번뇌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사마타 명상은 마음이 탐욕과 번뇌 등에서 벗어난 상태인 마음의 해탈을 지향한다.

정의
지(止)라는 뜻으로, 외부 대상에 대해 감각기관을 다스려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고요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지(止) · 적정(寂靜).
개설

사마타(奢摩他)는 범어 śamatha 팔리어 samatha의 음역(音譯)으로, 한역(漢譯)으로는 지(止)이다. 선정(禪定)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술어 중의 하나이다.

연원 및 변천

초기불교 경전과 아비달마 문헌에서 사마타는 단독의 개념으로 쓰이면서 ‘그침 · 고요 · 집중’ 등의 의미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지만, 비파사나(범어 vipaśyanā, 빨리어 vipassanā, 觀) 명상과 짝을 이룬 채 상보관계로써 체계적인 형태를 띠고 등장하는 경우가 좀 더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파사나가 대상을 관찰하여 올바른 지혜를 터득하기 위한 명상법임에 비해, 사마타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탐욕과 번뇌 등의 작용을 그치게 함으로써 마음의 평온을 얻는 명상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비달마 문헌에서는 ‘사마타-비파사나’[止觀]의 틀이 ‘집중과 통찰’이라는 의미로 체계화되기에 이른다. 사마타는 남방불교에서는 집중을 성취하기 위해 ‘표상’이란 뜻의 니미따(nimatta)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청정도론(淸淨道論)』에서는 사마타의 대상을 40가지 명상의 주제로 체계화시키고 있다.

인도의 대승불교와 동아시아 불교권에서도 사마타는 ‘지관(止觀)’을 구성하는 하나의 축으로써 이해되었다. 이는 ‘지관’의 틀로서 불교 명상의 특질을 파악하고자 했던 해석의 체계가 후대의 불교사상에서도 계승되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천태(天台) 교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문헌 중의 하나가 『마하지관(摩訶止觀)』이라는 점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원효의 수행체계에서도 ‘지관’이 나타나고 있다.

내용

사마타(samatha)는 팔리어 동사 어근인 ‘삼(sam, 그치다)’에서 파생된 명사이므로 기본적인 의미는 ‘그침, 고요’이다. 한역대장경에서는 ‘지(止)’로 옮겼다.

사마타는 여타의 명상 관련 용어와는 달리 인도의 다른 종교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불교 고유의 용어이다. 이것은 마음속에서 탐욕과 번뇌가 있는 한 대상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먼저 탐욕과 번뇌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발상에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사마타 명상은 마음(citta)과 연결되고, 특히 마음이 탐욕과 번뇌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벗어난 상태인 마음의 해탈[心解脫, ceto-vimutti]을 지향하는 도식으로 설정된다.

“비구들이여, 사마타를 닦으면 어떠한 이익을 누리는가? 마음이 닦인다. 마음이 계발되면 무슨 이익을 누리는가? 탐욕이 끊어진다.”라고 말한 『앙굿따라 니까야』(제2집 3.10)의 설명에 따르면, 사마타는 탐욕을 극복하는 수행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사마타는 ‘마음을 고정시킴, 마음을 안정시킴, 마음을 하나가 되게 함, 마음이 고요하게 됨, 마음이 삼매에 들게 함’ 등의 의미 영역을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사마타는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형태를 띠고서 탐욕과 번뇌 등의 그침을 목적으로 하는 명상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관찰 유형의 명상에 속하는 비파사나(vipassanā)와 더불어 초기불교의 명상을 대표하는 방법이다. 특히 탐욕, 분노, 집착 등의 번뇌의 그침 또는 멈춤을 지향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사마타와 위빠사나』(전현수 지음, 불광출판사, 2015)
『사마타 명상』(헤네폴라 구나라타라 지음, 이재석 옮김, 아름드리미디어,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