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념처 ()

불교
개념
몸 · 느낌 · 마음상태 · 현상[身 · 受 · 心 · 法]에 대해 주의력을 불러일으키는 불교수행법. 사념주 · 사의지 · 사지념 · 사념 · 사념수관.
이칭
이칭
사념주(四念住), 사의지(四意止), 사지념(四止念), 사념(四念), 사념수관(四念隨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념처는 몸, 느낌, 마음 상태, 현상[身·受·心·法]에 대해 주의력을 불러일으키는 수행법이다. 사념주, 사의지, 사지념, 사념, 사념수관이라고도 한다. 몸에 대한 애착을 끊고, 감각기관과 마음에서 생겨나는 괴로움을 정체를 파악하여, 무상의 이치를 깨달아 현상계에서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자아가 없음을 터득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념처는 인도 초기 불교에서 명상을 대표하는 핵심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몰입 유형의 사마타 명상과 관찰 유형의 위빠사나 명상과 더불어 불교 사상사에서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정의
몸 · 느낌 · 마음상태 · 현상[身 · 受 · 心 · 法]에 대해 주의력을 불러일으키는 불교수행법. 사념주 · 사의지 · 사지념 · 사념 · 사념수관.
개설

사념처(四念處, 범어 catvāri smṛty-upasthānāni, 빨리어 cattāro sati-paṭṭhānā)는 사념주(四念住), 사의지(四意止), 사지념(四止念), 사념(四念), 사념수관(四念隨觀)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사념처는 인도의 초기불전에서 확립된 것으로서 불교명상법의 기초를 이룬다. 이에 대한 가장 방대하고도 자세한 서술은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의 『마하사띠파타나(Mahāsatipaṭṭhāna, 大念處)』경에 보인다. 초기불전 안에서도 이미 드러나고 있지만 부파불교의 수행체계에서 37보리분법(菩提分法)의 첫 번째 수행도로 등장하고 있어 사념처의 위상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 점은 니까야에서 팔정도의 일곱 번째인 정념(正念)을 사념처로 설명하고 있는 사유체계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 지관(止觀)’ 또는 ‘ 오정심관(五停心觀)’ 등의 체계로서, 사념처관의 일부가 수용 또는 계승되고 있어서 현재 남방불교 국가에서 사념처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는 모습과는 다른 전개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원측의 『인왕경소(仁王經疏)』와 원효『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등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사념처에 대해 주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①신념처(身念處)

사념처의 첫 번째인 신념처란 ‘몸’에 대해 주의력을 불러 일으켜 그것을 지속시켜나감으로써 몸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거나, 시체 등이 썩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부정(不淨)을 연상하여 몸에 대한 애착을 제어하고 다스리는 수행을 말한다. 여기에 ‘호흡의 주시’를 비롯해서 모두 9가지 또는 14가지 종류의 관찰 대상이 제시되어 있다. 즉, ‘호흡, 신체 동작, 행동, 32가지 신체요소, 사대(四大), 시체의 부패, 시체가 썩어 없어짐, 갖가지 뼈의 모습, 흩어진 갖가지 뼈의 모습 등이다. 이들 신념처의 하나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니까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하나의 상용구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몸에서 몸을 안으로 따라가며 관찰하여 머무르고, 몸에서 몸을 밖으로 따라가며 관찰하여 머무르며, 몸에서 몸을 안팎으로 따라가며 관찰하여 머무른다. 몸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따라가며 관찰하는 자로 머물거나, 몸에서 소멸하는 현상을 따라가며 관찰하거나, 몸에서 생성 · 소멸하는 현상을 관찰하는 자로 머문다.” 이 내용은 다음의 수념처(受念處), 심념처(心念處), 법념처(法念處)의 설명에서도 동일한 서술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념처 수행의 면모를 이해하는 데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②수념처(受念處)

수념처는 감각기관에 의해 발생하는 ‘느낌’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 그것의 정체를 있는 그대로 분명하게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도 모두 아홉 가지 종류가 제시된다. 즉, ‘즐거운 느낌, 괴로운 느낌,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육체적인 즐거움, 정신적인 즐거움, 육체적인 괴로운 느낌, 정신적인 괴로운 느낌,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육체적인 느낌,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정신적인 느낌’이다. 따라서, 수념처는 마음에서 괴로움을 느끼게 되는 지점을 인지하는 연습을 통해서 괴로움의 정체를 제대로 파악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③심념처(心念處)

심념처는 순간순간 마음에 생겨난 갖가지 상태를 그때그때 그대로 정확히 인지할 것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대상은 모두 열여섯 가지에 이른다. 즉, ‘탐욕이 있는 마음, 탐욕이 없는 마음, 성냄이 있는 마음, 성냄이 없는 마음,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 침체된 마음, 산만한 마음, 커진 마음, 커지지 않은 마음, 위가 있는 마음, 위없는 마음, 집중된 마음, 집중이 안 된 마음, 벗어난 마음, 벗어나지 못한 마음’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변화무쌍하게 마음속에서 전개되는 갖가지 양상이 어떻게 발생하고 소멸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마음 상태에서 ‘늘 그러하지 않음’(無常)을 발견해내는 능력의 갖춤을 지향하는 것이다.

④법념처(法念處)

법념처의 내용으로는 다섯 가지가 제시된다. 즉, 오개(五蓋), 오온(五蘊), 육입처(六入處), 칠각지(七覺支), 사성제(四聖諦)이다. 그런데 ‘ 법(法, dhamma)’은 매우 다의적인 용어이지만 여기서는 주의력을 불러 일으켜서 관찰하는 대상 즉, 감관(感官) 대상으로서의 ‘현상 또는 존재’에 해당한다. 즉, 마음속에 인지되는 감관 대상이 마음에 어떠한 움직임을 낳게 되는지를 관찰하는 수행으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칠각지나 사성제는 그 자체가 하나의 실천수행에 해당하므로 법념처는 그 밖의 실천수행도를 종합하고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법념처는 ‘현상 또는 존재’ 속에서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자아가 없음’(無我)의 지혜를 터득하는 것이 목적이 된다.

의의와 평가

사념처는 인도 초기불교의 갖가지 명상을 대표하는 핵심적인 방법에 해당한다. 몰입 유형의 사마타(samatha) 명상과 관찰 유형의 위빠사나(vipassanā) 명상과 더불어 이후 불교사상사의 전개에서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현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도 ‘치유’의 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주목받고 있는 명상법이다.

참고문헌

『붓다와 명상』(임승택 지음, 민족사, 2011)
『불교 선수행의 핵심』(냐나포니카 지음, 송위지 옮김, 시공사,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