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의 어원을 찾아서 (말의 을 찾아서)

언어·문자
문헌
1990년 중국의 조선어 어학자 한진건이 조선말 어원에 대해 탐구하여 저술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90년 중국의 조선어 어학자 한진건이 조선말 어원에 대해 탐구하여 저술한 학술서.
내용

한진건은 총 720개의 조선말의 어원에 대해 탐구하면서 다음 8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① 전설, 역사 사실, 구전 이야기와 관련지어 단어의 어원을 찾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임금’이란 단어의 어원은 단군신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환웅과 웅녀가 낳은 아들의 이름을 단군 왕검(王儉)이라 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왕’은 ‘주(主)’, 즉 조선말 ‘님’이라는 것이고, ‘검(儉)’은 ‘신선’의 뜻을 나타내는 ‘신(神)’이라는 것이다. ‘님검’은 실지 사용 과정에서 첫소리인 ‘ㄴ’이 탈락되어 ‘임’이 되고, ‘검’은 ‘금’으로 변화되어 오늘날 ‘임금’으로 된 것이다.

② 고어와 관련지어 향찰, 이두,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중세어 가운데서 어원을 고증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가배(嘉俳)’란 말은 이두로서의 차자(借字)로, 오늘날 추석을 뜻하는 ‘가위’이다.

③ 단어 조성 접미사를 파악하여 기원을 찾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미나리’는 중심어 ‘물날’과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물날이-무나리-미나리’로 변화되었다.

④ 발달된 의성 의태어와 관련시켜 단어의 기원을 찾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고니, 기러기, 개구리, 종다리, 꾀꼴새 등이 여기에 속한다.

⑤ 추리법으로 단어의 기원을 찾는 방법이 있는데, 오늘날 쓰이는 단어를 가지고 이미 없어진 단어를 추상하는 방법과 형태 또는 의미적으로 일부 단어의 외적 및 내적 관계를 추상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바람’이란 단어는 ‘불다’에서 기원한 것이다. ‘불+암-불암-부람-바람’의 과정을 거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⑥ 풀이법으로 기원을 찾는 방법이다. ‘서까래’와 같은 단어가 여기에 속한다. ‘섶’과 ‘깔다’의 어간 ‘깔’과 단어 조성 접미사 ‘-애’가 합쳐진 것인데 이 단어는 현실에서 쓰이는 과정 중에 받침이 탈락되면서 형성되었다.

⑦ 어음(語音, 음운) 교체, 어음 변화의 분석을 통해 ‘무서움’ ‘구덩-구렁’과 같은 단어들의 기원을 찾는 방법이 있다.

⑧ 다른 언어와의 연관 속에서 단어의 기원을 찾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한자어와의 연관, 몽골어와의 연관(‘오랑캐’), 만주어와의 연관(‘사돈’), 일본어와의 연관, 범어와의 연관(‘건달’), 기타 언어와의 연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8가지 방법은 단어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며 많게는 두세 가지, 적게는 한 가지 방법을 통해 그 어원을 따져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무려 720개의 어휘에 대한 어원을 8가지 방법에 근거해 분석했으며, 중국에서 현존하는 어원 연구와 성과 중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문헌

『조선어어휘사』(리득춘, 연길: 연변대학 출판사, 1988)
「중국어 상고음과 한국어 어원의 관계(漢語上古音與韓國語詞源之關係)」(김태완(金泰完), 『語言研究』 2012. S1)
「조선어 어휘발전에서 나타난 문제(關於朝鮮語詞彙發展中的若干問題)」(리득춘·김기석, 『東疆學刊』 2002. 4)
집필자
김홍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