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이 틀리기 쉬운 한어문장에 대한 분석 (이 틀리기 쉬운 )

언어·문자
문헌
중앙민족학원어문계 한어교연조 · 조선어교연조에서 조선족의 중국어 학습을 위하여 1978년에 편찬한 문법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앙민족학원어문계 한어교연조 · 조선어교연조에서 조선족의 중국어 학습을 위하여 1978년에 편찬한 문법서.
내용

조선어와 중국어는 문법 · 어휘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민족어의 영향을 받거나 중국어의 습관적인 용법을 몰라서 중국어를 틀리게 쓰는 경우가 많다. 이 책에서는 조선족이 틀리기 쉬운 문장 총 345개를 수집 정리하여, 단어들의 결합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법적인 오류, 어절 사이의 어울림에서 나타나는 오류, 기타 오류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을 했다. 문법 설명에서 적용된 문법 전문 술어는 중국어 문법 용어들을 직역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단어들의 결합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법적인 오류에 대해서는 동사, 능원동사(能願動詞), 판단동사(判斷動詞), 개사(介詞), 부사, 접속사와 관련어[連詞], 조사(助詞), 규정어[定語]와 ‘적(的)’, 상황어[狀語]와 ‘지(地)’, 보충어[補語]와 ‘득(得)’, 수량과 정도 및 시간, 부정과 의문 및 반문 등 12개 부류로 나누어 자주 쓰이는 조선어 문장 중 틀린 문장과 쓰임이 맞는 중국어 문장을 나열하고 설명을 덧붙였다. 예를 들면 “‘요(要)+대(對)……+2음절동사’와 같은 격식의 문장에서 동사 뒤에 보충어가 없을 때는 동사 앞에 반드시 ‘진행(進行)’이나 ‘가이(加以)’를 넣어야 한다. ‘아문요대저건사진행조사(我們要對這件事進行調查)’”와 같이 틀린 문장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정확한 중국어 문장을 예로 들었다. 다음, 말구절(어절) 사이의 어울림에서 나타나는 오류에서는 문장 내부에서 문장성분 사이의 상호 관계와 중국어 표현방식에서 주의해야 할 어울림 표현, 상하 문맥의 흐름 등을 주로 설명하였다. 주어의 어울림, 문장 유형의 어울림, 표현 방식의 어울림, 음절수의 어울림, 상하 문맥의 연계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오류 부분에서는 기타 어휘 사용에서 나타나는 오류, 조선말식의 한자어와 억지로 만들어 낸 말들, 중복과 군더더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어휘들은 ‘실현(實現)’과 ‘실행(實行)’, ‘소(少)’와 ‘소(小)’처럼 헷갈리기 쉬운 어휘들의 잘못된 사용을 지적했고, 조선말식의 한자어란 ‘술책[書策]’, ‘일동(一同)’처럼 조선어를 한자로 직역한 한자어를 가리키며, ‘완선완미(完善完美)’, ‘분망(奮忙)’과 같이 중국어에는 없는 억지로 만들어 낸 한자어들의 잘못된 사용을 지적했다. 이 외 군더더기란 중국어 문장으로 표현할 때 불필요한 말들을 중복 사용하거나 매끄럽지 못한 점을 가리킨다.

의의와 평가

조선족이 중국어를 사용할 때 생기는 오류를 문법적으로 바로잡은 책으로서 의의가 있다. 1970년대 중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던 조선족들에게는 지침서와 같은 역할을 했다. 나아가 조선어와 중국어의 대비와 번역 연구 및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과 조선인 학습자가 참고할 만한 저서이다.

참고문헌

『한중번역기초』(류영록, 연길: 연변대학 출판사, 2002)
『중국, 조선, 한국에서의 조선어차이에 대한 연구』(최윤갑·전한석,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1994)
『중국에서의 조선어의 발전과 연구』(최윤갑, 연길: 연변대학 출판사, 1992)
「조선어 특수 한자어에 관하여(關於朝鮮語中的特殊的漢字詞)」(김해수(金海守), 『延邊大學學報』 1988. 1)
「연변의 이중언어 현상에 대한 소고(延邊雙語現象初探)」(풍공달(馮公達), 『東北師大學報』 1983. 6)
「중국어 관형조사 ‘的’의 조선어 번역법(漢語定語助詞“的”的朝鮮語譯法)」(허동진, 『漢語學習』 1981. 5)
「조선어에 존재하는 중국어화 현상에 관하여(關於朝鮮語中的漢化現象問題)」(김현근(金顯根), 『延邊大學學報』 1979. 3)
집필자
김홍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