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암산 대원암 ( )

목차
불교
유적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산(安岩山) 에 있는 조선후기 지봉우기가 창건한 암자. 개운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산(安岩山) 에 있는 조선후기 지봉우기가 창건한 암자. 개운사.
내용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산(安岩山)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의 말사인 개운사(開運寺)의 산내 암자이다. 조선 후기인 1845년(헌종 11)에 지봉우기(智峰祐祈)가 창건하였다. 대일항쟁기에는 근대불교계의 대강백인 영호정호(映湖鼎鎬, 18701948)가 이곳에 불교전문강원을 개설하여 석학들을 배출하였다. 그는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명진학교의 강사로부터 불교고등강숙 숙장을 거쳐 중앙학림의 교장과 중앙불교전문학교의 교장 및 혜화전문학교의 명예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조선불교의 교정과 대한불교의 교정을 지낸 바 있다. 영호가 주석하던 당시 대원암은 우리나라 지식사회의 대표적 인물들의 집합소이기도 했다. 이곳에는 운허·고봉·청담·성능·철운·운성·운기·청우·남곡·경보 등의 출가 제자와 석정 신석정·미당 서정주 등의 재가 제자 및 동경 삼걸로 불리던 벽초 홍명희·춘원 이광수·육당 최남선을 비롯하여 백화 양건식·산강 변영만·가람 이병기·위당 정인보·범부 김정설·지훈 조동탁 등 당대의 대표적 지식인들이 모여들었다. 영호의 입적 이후 1970년대의 대원암에는 탄허택성(呑虛宅成, 19121983)이 주석하면서 이통현 장자의 『신화엄합론』의 역경 사업에 종사하였다. 전각으로는 법당과 향적실이 있다. 뜰에는 왼쪽 귀가 떨어져 나간 채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불상과 지권인을 하고 있는 비로자나 불상이 있다. 『봉은사본말지』와 「석전문초」에 실린 「대원강원공덕비송(大圓講院功德碑頌)」은 석전사문(石顚沙門) 박한영(朴漢永)이 쓰고 소정거사(小丁居士) 임청(林靑)이 글을 썼다.

참고문헌

『명산 고찰따라』(이고운·박설산, 선문출판사, 1987)
『한국사찰사전』(동국대 출판부,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