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

현대사
단체
1986년 8월 12일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희생자들의 유가족들이 설립한 단체.
이칭
약칭
유가협, 유가족협의회
단체
설립 시기
1986년 8월 12일
설립지
서울특별시
소재지
서울특별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는 1986년 8월 12일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희생자들의 유가족들이 설립한 단체이다. 의문사 진상 규명, 민주화운동 관련 명예 회복 및 보상, 민주화운동 희생자 추모사업 등 다양한 연대투쟁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헌신적으로 활동해 왔다.

정의
1986년 8월 12일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희생자들의 유가족들이 설립한 단체.
설립 목적

1986년 8월 12일 전태일기념사업회 창립총회에서 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유가족협의회)를 발족하고 초대 회장에 전태일의 어머니 이소선을 선출하였다. 설립 취지는 유가족협의회가 필요 없는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에 두었다. 창립선언문에서는 "사랑하는 자식, 남편, 형제를 잃고 창자를 끊는 듯한 슬픔에 눈물이 마를 날이 없었던 우리 유가족들은 지금 이 모든 아픔을 딛고 고인들이 썼던 민주의 가시관을 받아쓰는 경건한 마음으로 (...) 고인들이 하나뿐인 생명을 바쳐가면서까지 목말라 외치던 바를 살아 있는 가족들이 함께 실천해 나가는 것만이 그들의 원혼을 위무해줄 수 있는 길"이라고 밝히고 있다.

변천 및 현황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는 기존의 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에 참여하는 가족들 가운데 독재정권에서 의문사를 당하거나 시위과정에서 공권력의 폭력으로 사망하거나 분신 · 투신하여 사망한 이들의 가족들이 중심이 되어 창립하였다. 처음에는 10명의 회원으로 시작했으며, 전태일 정신을 이어간다는 취지가 있었다. 이후 군사독재에서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모임으로 확대되었다.

1993년 9월 총회에서 회장 1인 체제로 전환하고 강경대 열사의 아버지 강민조가 회장을 맡아오고 있다.

주요 활동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는 연대투쟁사업, 추모기념사업, 명예 회복 및 진상 규명사업 등을 전개해 왔다. 매년 민족민주열사범국민추모사업회를 중심으로 합동 추모제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활동은 의문사에 대한 진상 규명과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사업이다.

대표적인 투쟁 활동은 1987년 전두환의 4 · 13호헌조치에 맞선 무기한 농성투쟁, 1988년 의문사유가족협의회를 발족하고 의문사 진상 규명 촉구 및 폭로 대회, 1998년 11월 4일부터 422일 동안 지속된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특별법」과 「의문사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국회 앞 천막농성 등이다. 그 성과로 1999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촉구하며 천막농성을 진행하고 있다.

1980년대의 의문사 관련 자료집으로 『누가 이들을 죽게 했는가』(진원, 1997), 『나의 사랑 나의 투쟁 유가협 30년의 기록』(썰물과밀물, 2016) 등을 출간하였다.

2016년 이천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은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가 행정안전부 산하 보상심의위원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개원할 수 있었다.

의의 및 평가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는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이들의 부모와 가족들이 서로 의지하고 함께 투쟁하는 공동체 모임으로서 민주화운동에 헌신적으로 기여해 왔다. 특히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의 제정을 주도하여 한국사회가 민주화운동 유공자들을 예우하는 규범을 만들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너의 사랑 나의 투쟁: 유가협 30년의 기록』 (썰물과밀물, 2016)

인터넷 자료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http://ugh.kr)
단체탐방 민주주의민족통일 전국유가족협의회(https://www.sarangbang.or.kr/hrdailynews/54898)
「유가협 30년은 한국 민주화 떠받친 피눈물의 역사」(『한겨레』, 2016. 8. 10.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56082.html)
집필자
김정한(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