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희 ()

현대사
인물
1991년 노태우 정권의 반민주적 통치에 저항한 대학생 활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72년 4월 12일
사망 연도
1991년 5월 19일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
관련 사건
강경대구타치사사건
내용 요약

박승희는 1991년 노태우 정권의 반민주적 통치에 저항한 대학생 활동가이다. 1991년 4월 26일 강경대가 백골단의 폭행으로 사망한 후 4월 29일 전남대 집회에 참석하고 노태우 정권 타도와 미국을 비판하는 구호를 외치며 분신하였다.

정의
1991년 노태우 정권의 반민주적 통치에 저항한 대학생 활동가.
인적 사항

박승희(朴勝熙)는 1972년 4월 2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났다. 목포 정명여고를 졸업하고 1990년 전남대 식품영양학과에 입학하였다.

주요 활동

박승희는 고등학교 시절 목포 고교생 YMCA에서 활동하였고 학생회장에 출마하기도 하였으며,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창립 이후 전교조 가입 교사에 대한 부당 징계에 대해 항의하는 징계 철회 투쟁에 참여하였고, 참교육 1세대로 불리는 ‘자주교육쟁취고등학생연합’(자고연)에서 활동하였다. 전남대학교 입학 후에는 학과 대의원, 교지 『용봉』 편집위원회 수습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평소 환경운동에 관심을 기울이고, 외국산 커피와 콜라를 마시지 않는 등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작은 실천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명지대학교 경제학과 강경대(姜慶大) 학생이 1991년 4월 26일 백골단의 폭행으로 사망한 후 전국적으로 강경대를 추모하고 주1 정권의 폭력성을 비판하는 집회와 시위가 전개되었다. 박승희는 4월 29일 2시 전남대학교에서 개최된 ‘강경대 살인 만행 규탄 및 살인 정권 폭력 정권 노태우 정권 퇴진을 위한 2만 학우 결의대회’에 참석하고, 3시경 전남대학교 본부(용봉관) 뒤쪽에서 분신하였다.

박승희의 분신은 강경대의 죽음이 1991년 5월 투쟁으로 이어지는 주요 계기가 되었다. 박승희 이후에 5월 1일 안동대학교 김영균, 5월 3일 경원대학교 천세용, 5월 8일 김기설, 5월 10일 윤용하, 5월 18일 이정순, 전라남도 보성고등학교 김철수, 광주 운전기사 차태권, 5월 22일 광주 정상순, 6월 8일 인천 노동자 이진희, 6월 15일 인천 택시 노동자 석광수 등 학생, 빈민, 노동자 등 11명이 ‘노태우 퇴진’을 요구하며 분신하였으며, 5월 6일 한진중공업 박창수 노조위원장의 의문사 사건, 5월 25일 성균관대학교 학생 김귀정이 시위 도중 폭력 진압으로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1991년 5월 투쟁은 검찰이 조작한 주2’으로 인해 급속히 동력을 상실하였다.

박승희는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자 “노태우 정권 타도, 미국 놈들 몰아내자.”라고 손가락 글씨로 구호를 적기도 하였다. 5월 19일 강경대 시신 운구가 경찰 병력과 충돌하며 광주 시내로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박승희가 사망하자 광주 시민들과 학생들은 경찰 저지선을 뚫고 강경대 운구가 금남로 도청 노제를 진행할 수 있게 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1년 5월 25일 민주국민장으로 치러졌고, 도청 노제를 지내고 광주광역시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에 안장되었다. 1998년 창립된 박승희추모사업회는 2004년 박승희정신계승사업회로 재창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2014년 6월 박승희장학재단이 설립되어 정명여고와 전남대학교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다. 2005년 9월 30일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한, 『대중과 폭력: 1991년 5월의 기억』(개정판) (후마니타스, 2021)
전재호, 김원, 김정한, 『91년 5월 투쟁과 한국의 민주주의』(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신문

「더 바보였던 승희는 먼저 떠났고 덜 바보였던 우린…」(『오마이뉴스』(2021. 4. 29.)

인터넷 자료

박승희장학재단(http://박승희장학재단.org)
박승희정신계승사업회(https://www.facebook.com/cosmos91)
주석
주1

한국의 군인·정치가. 제13대 대통령(재임 1988~1993). 내무부 장관, 국회의원 등을 지냈다.    바로가기

주2

1991년 당시 명지대생 강경대 씨의 사망에 항의하면서 분신한 김기설 씨의 유서를 전민련 총무부장이던 강기훈 씨가 대필했다는 혐의로 구속돼 복역했던 사건이다. 강기훈 씨는 2015년 5월 재심 끝에 대법원에서 무죄 선고를 받았다.

집필자
김정한(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